•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극기복례(克己復禮)
과도한 욕망을 누르고 예절을 쫓도록 함.

論語 가운데서 仁(인)에 관한 논의가 몹시 많다. 환언하면 공자께서는 인을 근본사상으로 삼고 있다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제로 삼고 있는 克己復禮도 그런 의미에서 인에 대한 정의라고 볼 수 있다. 顔淵이 인에 대하여 여쭈었다.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감이 인이 된다. 하루 동안 나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간다. 인을 행함은 자기를 말미암은 것이니, 다른 사람에게 말미암겠는가 ?˝
안연이 여쭈었다.
˝칭컨대 그 조목을 여쭙겠나이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예가 아닌 것은 보지말고, 예가 아닌 것은 듣지 말고 예가 아닌 것은 말하지 말고, 예가 아닌 것은 움직이지 말아라.˝
안연이 여쭈었다.
˝회가 비록 불민하나 칭컨대 이 말을 받들겠나이다.˝
이것은 공자와 그의 수제자인 안연과 문답의 형식으로 되었다. 논어 본문에서는 자기를 이기고 에로 돌아감-극기 복례의 말로 인을 정의한 다음 다시
˝하루 동안 자기를 이기고 에로 돌아가면 천하는 인으로 돌아간다. 인을 행함은 자기에게 말미암는 것이지, 어찌 다른 사람에게 말미암겠느냐 ?˝
고 말씀하시고 예가 아닌 것은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고 움직이지도 말라고 말씀하셨다. 안연도 이를 승복하여
˝회가 비록 우둔하기는 하지만 칭컨대 이 말씀을 받들겠나이다.˝
라고 대답하고 있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