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구상유취(口尙乳臭)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과 하는 행동이 아직 어리다는 말.

이것은 한고조가 반란을 일으킨 위왕의 장수 백직을 가리켜 한 말인데 한 고조가 만들어 낸 말이 아니라, 흔히 하는 말을 한 것이 기록에 남은 것뿐이다. 그러나 상대를 얕보고 하는 말치고는 어딘가 품위가 있고 애교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김삿갓에 관한 이야기 중에 이런 것이 있다. 어느 더운 여름철 한 곳을 지나노라니 젊은 선비들이 개를 잡아놓고 술을 주거니 받거니 하며 시를 짓는 다고 마구 떠들어 대고 있었다. 술을 좋아하는 김삿갓이 회가 동하지 않을 수 없다. 말석에 앉아 한 잔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는데 형식이 초라해서 인지 본 체도 않고 있다. 김삿갓은 약간 아니꼬운 생각이 들어
「구상유취로군!」
하고 일어나 가 버렸다.
「그 사람이 지금 뭐라고 했지 ?」
「구상유취라고 하는 것 같더군.」
이리하여 김삿갓은 뒤쫓아온 하인들에게 끌려 다시 선비들 앞으로 갔다.
「방금 뭐라고 그랬지 ? 양반이 글을 읊고 있는데 구상유치 라니 ?」
그러면서 옆에 놓고 매를 칠 기세를 보였다. 김삿갓은 태연히,
「내가 뭐 잘못 말했습니까 ?」
하고 반문했다.
「뭐라고, 무얼 잘못 말했느냐고 ? 어른들을 보고 입에서 젖내가 나다니 그런 불경한 말이 어디 또 있단 말이냐?」
「그건 큰 오해십니다. 내가 말한 구상유취는 입에 젖내가 난다는 구상유취가 아니라 개 초상에 선비가 모였다는 ´구상유치(拘喪儒聚)´였습니다.」
한문의 묘미라고 나 할까. 선비들은 그만 무릎을 치고 크게 웃으면서,
「우리가 선비를 몰라보았소. 자아 이리로 와서 같이 술이나 들며 시라도 한수 나눕시다.」
하고 오히려 사과를 한 끝에 권했다는 것이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