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공휴일궤(功虧一궤)
「功이 한 삼태기로 허물어졌다」는 뜻으로 조금만 더 계속하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데까지 와서, 그만 중단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애쓴 것이 허사가 되고 만 것을 공휴일궤 라고 한다.

「......아홉 길 산을 만드는 데 일이 한 삼태기로 무너진다. 라고 한데서 비롯된다. 」
여오편은,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무찌르고 새 왕조를 연 다음, 그 위력이 사방의 이민족에게까지 미치게 되었을 때. 서쪽에 있는 여라는 오랑케 나라에서 오라는 진기한 개를 선물로 보내왔다. 오는 키가 넉 자나 되는 큰 개로 사람의 말을 잘 알아듣고 또 사람이나 짐승을 잘 덮친다 해서 무왕을 몹시 기뻐하며 아주 소중히 길렀다. 그래서 무왕의 아우인 소공 석이 무왕이 혹시 그런 진기한 물건들에 마음이 끌려 정치를 등한히 하지나 않을 까 하는 염려에서 이를 일깨워 말한 것이다. 그 앞 부분서부터 한말을 소개하면
「슬프다. 임금 된 사람은 아침부터 저녁까지 잠시라도 게으름을 피워서는 안 된다. 아무리 사소한일이라도 이를 조심하지 않으면 마침내 큰 덕을 해치기에 이르게 된다. 예를 들어 흙을 가져 다가 산을 만드는데, 이제 조금만 일을 계속하면 아홉 길 높이에 이르게 되었을 때. 이제는 다 되었다 하고 한 삼태기의 흙 운반하기를 게을리 하게 되면 지금까지 해온 일이 모두 허사가 되고 만다.」
라고 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말은 공자도 했다.

論語(논어) 자한편 에 보면,
「비유하자면 그것은 마치 산을 만드는 것과 같다. 비록 한 삼태기로 이루지 못했더라도 그만둔 것은 내가 그만둔 것이 아니겠는가 」
라고 나와 있다. 그런데 아홉 길 산이 한 삼태기 흙으로 못 쓰게 된다는 비유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평도 있다. 그것에 비해 맹자가 말한 아홉길 우물의 비유는 훨씬 실감은 준다 하겠다. 맹자 진심편 상에 맹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어떤 일을 하는 것은 비유하면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 우물을 아홉 길을 파 들어가다가 샘에까지 이르지 못하고 그만두면 그것은 우물을 버린 것과 같다. 한 삼태기의 흙만 더 파내면 샘이 솟아나게 되어 있더라도, 거기까지 계속하지 못하고 그만 두면 아홉길을 파 내려간 지금까지의 노력을 포기한 거나 다름이 없으니, 그야말로 공휴일궤가 아닐 수 없다. 무슨 일이든 끝을 내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는 것이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