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알수없어요 -한용운- |  | |
| 바람도 없는 공중에 수직(垂直)의 파문을 내이며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은 누구의 발자취입니까.
지리한 장마 끝에 서풍에 몰려가는 무서운 검은 구름의 터진 틈으로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 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꽃도 없는 깊은 나무에 푸른 이끼를 거쳐서 옛 탑(塔) 위에 고요한
하늘을 스치는 알 수 없는 향기는 누구의 입김입니까.
근원은 알지도 못할 곳에서 나서 돌부리를 울리고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는 구비구비 누구의 노래입니까.
연꽃 같은 발꿈치로 가이 없는 바다를 밟고 옥 같은 손으로 끝없는
하늘을 만지면서 떨어지는 해를 곱게 단장하는 저녁놀은 누구의
시(詩)입니까.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그칠 줄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시집 {님의 침묵}, 1926)
■ 한용운(韓龍雲)
본명 : 한정옥(韓貞玉)
만해(萬海), 한유천(韓裕天)
1879년 충청남도 홍성 출생
1896년 동학에 가담하였으나 운동이 실패하자,
설악산 오세암에 들어감
1919년 3·1 운동 민족 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독립 선언서>에서명
1927년 신간회(新幹會) 중앙 집행위원
1930년 월간지 {불교} 발행인 1944년 사망
시집 : {님의 침묵}(1926)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