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한글 자모´ |  | |
| ´한글 자모´
한글 자모의 기본 글자가 스물넉 자이고, 그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합하여서 적는다는 것을 누구나 잘 아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그 글자들의 이름도 잘 알고, 이름 붙이는 방법도 잘 압니다. 그러나 그런 자모들의 총수가 얼마인지, 그것들이 사전에 오를 때의 순서라든지, 그 이름이 조사나 다른 형태소와 결합할 때 어떻게 발음되는지는 잘 모릅니다. 그런 것들이 종전의 맞춤법에 설명되어 있지 않았으며, 배울 기회가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1998년부터 바뀐 새 ´한글 맞춤법´에 제시된 자모의 이름, 그 순서, 그 발음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여러분 잠깐만! *
받침 규칙에 따르면 [디귿]의 경우 종속적 모음이 이어나면 [디그디], [디그들], [디그데]라고 발음해야 하는데, 흔히 [디그시], [디그슬], [디그세]라고 발음하는데 어떻게 발음하는 것이 옳을까요?
표준 발음법 제 16항에 따르면, 한글 자모의 이름은 그 받침소리를 연음하되, ´ㄷ, ㅈ, ㅊ, ㅋ, ㄹ, ㅍ, ㅎ´의 경우에는 특별히 다르게 발음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디귿´의 경우 [디그시], [디그슬], [디그세]라 발음하도록 했으며, ´키읔´의 경우는 [키으기], [키으글], [키으게]라 발음하도록 하였습니다. ´피읖´의 경우는 [피으비], [피으블], [피으비]라 발음하여 받침 법칙과는 관계 없이 현실 발음을 반영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다음 단어들이 사전에 오르는 순서는 어떻겠습니까?
공주/깡그리/공짜/괴짜/꾀죄죄하다/귀신/궤도/귀뜀/기술
⇒공주 - 공짜 - 괴짜 - 궤도 - 귀띔 - 귀신 - 기술 - 깡그리 - 꾀죄죄하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