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불혹(不惑)´과 ´이순(耳順)´ |  | |
| ´불혹(不惑)´과 ´이순(耳順)´
論語 爲政篇에 ˝내가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설흔에 섰은며, 마흔에 혹하지 않게 되었으니, 쉰에 을 알았고, 예순에 귀가 순하여졌으며, 일흔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에서 벗어나지 않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에 따르면, 공자도 30까지는 수양기였으며, 30이 넘어서 비로소 사회에 선 것으로 생각됩니다. 40에 不惑이라 했으니 사리의 판단에 흔들림이 없게 되었고, 50에 하늘이 그에게 준 사명을 다하기 위해 정치 무대에서 활약하였습니다. 60에 耳順이라 했으니, 모든 말에 감정의 동요가 없게 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논어에 나오는 구절에 연유해서 而立, 不惑, 知天命, 耳順 등이 30, 40, 50, 60세를 각각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70의 경우는 두보의 시에 나온 人生七十古來稀로부터 古稀를 따다 흔히 씁니다
* 대화(부부간) *
(남) : ˝나는 때때로 내가 경제학을 전공했더라면 더 좋았을 거라는 생각을 하곤 하오.˝
(여) : ˝나이가 불혹에 이르시고도 아직도 그런 생각을 하세요?˝
(남) : ˝인생은 사십부터라는 말도 있는데, 불혹의 나이에 이르렀다고 그런 생각도 못하오?˝
(여) : ˝삼십에 이립(이립)하고 사십에 불혹(불혹)한다는 말은, 이미 그나이면 일정한 분야에서 흔들림이 없는 경지에 있어야 한다는 뜻이니까 하는 말씀이에요.˝
(남) : ˝당신 말대로 한눈팔 나이가 아니니, 내 전공 분야에서 열성을 다해야겠구려.˝
* 여러분 잠깐만! *
속담에 ´손자 환갑 닥치겠다.´란 것이 있는데, 어떤 뜻으로 쓰는 말일까요?
너무 오래 걸려서 기다리기 지루함을 뜻하는 말입니다. ´없는 소자 환갑 닥치겠다.´와 같은 말입니다.
<참고>
77세를 喜壽라 함은 喜의 초서가 七十七을 세로 합쳐 써 놓은 것과 비슷한 데서 연유합니다.
88새를 米壽라 함은 八十八칠을 合字자면 米가 되기 때문이며, 99세를 白壽라 함은 100에서 하나 모자라기 때문에 百에서 한 획을 뺀 白을 쓴 것입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