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전국 시대 학자인 양자(楊子)는 갈림길을 보고 울고 묵자(墨子)는 아직 물들이지 않은 연사(練絲)를 보고 곡했다.
전국 시대 학자인 양자(楊子)는 갈림길을 보고 울고 묵자(墨子)는 아직 물들이지 않은 연사(練絲)를 보고 곡했다. 갈림길은 동쪽으로도 갈 수 있고 서쪽으로도 갈 수가 있다. 또 물들이지 않은 연사는 붉게도 검게도 물들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세상 만사는 이처럼 근본은 바르고 색깔은 없지만 그 끝은 경우에 따라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간다. -회남자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