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상치와 쌈문화 / 임영만

상치는 남에게 보이지 않게 심어야했다, 텃밭에 남에게 보이도록 넓게 많이 심으면 그 집 마님의 밤의 작태를 안다해서 곧 음욕을 노출시키는 것으로 알았다.상치의 파종량은 마님의 음욕과 비례했던 것이다. 숨어서 자라야했던 숙명 때문인지 상치의 속성도 은근초였다. 의뭉스러운 사람이나 숨어서 매음하는 자를 뜻하는 은군자(隱君子)에서 얻은 이름이다. 특히 고추밭 이랑 사이에 심은 상치일수록 약이 잘오른 상품으로 여겨 서방님 밥상에만 고추밭 상치를 가려서 올렸던 것이다.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욕할 때 ´고추밭 상치 가리는 년´ 이라고하면 곧 남편을 위하는척하며 자신의 음욕을 채우는 년이란 저의가 내포되어있었던 것이다. 우리민속에 있어서 이런 상징의 침투는 오묘하고 다양하며 상치를 둔 민속하나만 보더라도 한편의 상징시를 읽는느낌이다. 우리 선조들은 생활 자체로 시를 구현한 상징 시인들이었던 것이다. 상치는 삼국시대부터 먹어온 여사 깊은 야채로 고려때 문헌에는 그로써 밥을 싸먹는다는 기록이 적지 않다. 원나라 시인 (楊允孚)는 그의 시에서 상치쌈싸먹는 고려의 풍습이 원나라에 전래되어 크게 유행했음을 밝혀주고 있다.
´고려의 맛좋은 상치를 되읊거니와 / 산에나는 새박나물이며 줄나물까지 사들여온다´했다. 곧 상치쌈뿐 아니라 산나물쌈까지 맛들여 수출했던 것 같다. 한국음식문화의 특성으로 탕이나 찌개같은 물기 음식과 김치, 간장 같은 발효 음식이 발달한것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쌈 음식도 특유하고 독보적인 것으로 국제화 사회에 각광박을 만한 음식이 아닐까 싶다. 18세기 실학자 이익의 성호사설에서는 소채 중에 잎이 큰 것은 모두 쌈을 싸서먹는데 상치쌈을 제일로 여긴다했고, 19세기 작자 미상의 是議全書 등에 보면 상치쌈 뿐만 아니라 곰취쌈이나 양제채(羊蹄採)쌈, 산채는 물론 깻잎쌈, 피마자잎쌈, 호박잎쌈, 배추쌈, 김치쌈등 잎이 큰것이면 모두쌈이 된다고 적혀있다. 특히 구절판에서 보듯 각기다른 8색의 각종 어육채소(魚肉菜蔬)를 알팍한 전병에 싸서 먹는 것은 쌈문화의 미학으로서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
여기서 우리 한국인의 의식주생활에 일관된 특유한구조적 공공인자(公共因子)를 가려볼 수 있다. 싼다는 것은 내부를 외부로부터 가리는행위요, 곧 외향적인 외개문화(外開文化)에 대한 내향적인 내포문화를 뜻하는 것으로 우리 생활문화의 기조가 되어온 것이다.
사립문이며 안방문까지 열어 제처놓고 논밭일을 나가도 훔쳐갈 것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빈민까지도 울타리나 담을 쳐 놓고 사는 이유는 내부를 외부로부터 가리기위한 쌈의 문화의 소산이다. 그리하여 ´장옷´이라는 온몸을 싸는옷까지
생겼던 것이다 . 이렇듯 내포형문화의 음식에 대한 투영이 우리나라에만 별나게 발달한 쌈문화로 나타난 것이 아닌가싶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