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어부지리(漁父之利)
´두 사람이 이해 관계로 다투는 사이에 엉뚱한 딴 사람이 이득을 봄´을 일컬음.

전국시대, 제(齊)나라에 많은 군사를 파병한 연(燕)나라에 기근(饑饉)이 들자 이웃 조(趙)나라 혜문왕(惠文王)은 기다렸다는 듯이 침략 준비를 서둘렀다.

그래서 연나라 소왕 (昭王)은 종횡가(縱橫家)로서 그간 연나라를 위해 견마지로(犬馬之勞)를 다해 온 소대(蘇代)에게 혜문왕을 설득하도록 부탁 했다.

조(趙)나라에 도착한 소대(蘇代)는 소진(蘇秦)의 동생답게 거침없이 혜문왕을 설득하여 혜문왕의 연나라 침공 계획을 철회시켰다고 한다.

˝오늘 귀국에 들어오는 길에 역수(易水:연, 조와 국경을 이루는 강)를 지나다가 문득 강변을 바라보니 조개[蚌蛤(방합)]가 조가비를 벌리고 햇볕을 쬐고 있었습니다.

이때 갑자기 도요새[鷸(휼)]가 날아와 뾰족한 부리로 조갯살을 쪼았습니다. 깜짝놀란 조개는 화가 나서 조가비를 굳게 닫고 부리를 놓아주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다급해진 도요새가 ´이대로 오늘도 내일도 비가 오지 않으면 너는 말라 죽고 말 것이다.´라고 하자, 조개도 지지 않고 ´내가 오늘도 내일도 놓아 주지 않으면 너야말로 굶어 죽고 말 것이다.´하고 맞받았습니다.

이렇게 쌍방(雙方)이 한 치의 양보도 없이 팽팽히 맞서 옥신각신하는 사이에 운수사납게도 그곳을 지나가던 어부 (漁夫)에게 그만 둘다 잡혀 버리고 말았습니다.

전하께서는 지금 연나라를 치려고 하십니다만, 연나라가 조개라면 조나라는 도요새입니다. 연(燕) 조(趙) 두 나라가 공연히 싸워 백성들을 피폐(疲弊)케 한다면, 귀국과 인접해 있는 저 강대한 진(秦)나라가 어부가 되어 맛있는 국물을 다 마셔 버리고 말 것입니다.˝

혜문왕도 명신으로 이름난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를 중용했던 현명한 왕인 만큼, 소대의 말을 못 알아들을 리가 없었다.

˝과연 옳은 말이오.˝하며 혜문왕은 침공을 중지했다.

趙且伐燕 蘇代爲燕謂惠王曰 今者臣來過易水 蚌方出曝而鷸啄其肉 蚌合而?其喙 鷸曰 今 日不雨 明日不雨 卽有死蚌 蚌亦爲鷸曰 今日不出明日不出 卽有死鷸 兩者不肯相舍 漁者得 而幷禽之 今趙且伐燕 燕趙久相支 以弊大衆臣恐强秦之爲漁夫也 故願王之熟計之也 惠王曰 善乃止.

漁 고기 잡을 어. 父 아비 부. 之 갈 지(…의) 利 이로울 리.

[동] 어부지리(漁父之利), 방휼지쟁(蚌鷸之爭) 좌수어인지공(坐收漁人之功)
蚌之爭(휼방지쟁) : 도요새와 조개의 싸움.

[유] 田父之功(전부지공) : 주축(走逐)에 지친 개와 토끼를 농부가 주웠다.
犬兎之爭(견토지쟁) : 개가 토끼를 쫓아 산을 오르내리다 마침내는 지쳐 둘다 죽으니 지나가던 농부가 주워 갔다.

[출전] 戰國策 燕策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