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오십보백보(五十步白步) |  | |
| 五 : 다섯 오
十 : 열 십
步 : 걸을 보
百 : 일백 백
步 : 걸을 보
피차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같다는 말이다. 오십보소(五十步笑)백보라고도 하며, 대동소이, 또는 그것이 그것이다 하는 말과 통한다.
맹자가 위나라 혜왕(惠王)의 초청을 받았을 때의 이야기이다. ˝선생님, 천리를 멀다 하지 않고 잘 와주셨습니다. 그것은 저희 나라를 강하게 해주시기 위해서이지요.˝ 혜왕의 물음에 맹자는 ˝왕의 나라가 강해지느냐 않느냐는 둘째 문제고, 나는 우선 인(仁)과 의(義)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왔습니다. 임금님께서는 전쟁을 좋아하셨지요. 한 가지 비유를 들어 봅시다. 싸움터에서 양쪽 군사가 맞붙어 싸움을 하려고 북을 울렸다고 합시다. 그런데 한 병사가 대단히 겁을 먹고, 갑옷을 벗어 던지며 도망을 쳤습니다. 그러다가 100걸음쯤 가서 멈춰 섰습니다. 그리고 또 한 병사는 도망을 치다가 한 50걸음쯤 되는 데서 멈춰 섰습니다. 그리고는 100걸음 도망친 놈을 보고, 비겁한 놈이라고 욕을 했다고 칩시다. 어떻습니까, 임금님?˝ 하고 물었다.
그러자 혜왕은 ˝그건 말도 안 되는 소리야, 50보나 100보나 도망친 데에는 다름이 없지 않은가!˝ 맹자는 주저하지 않고 말하였다. ˝그것을 아신다면 임금님, 이웃 나라보다는 자기 나라 백성을 많이 보살피겠다고 하시는 임금님의 소망도 이와 비슷한 것이겠습니다.˝ 하고 자기가 말하고자 하는 중심으로 혜왕을 끌어들였다. 그 중심이란 왕의 도(道)이다.
왕도란 평소부터 백성들의 생활 안정, 그 안정과 백성을 위해 존재하는 애정과 예의의 도덕국가, 교육이 널리 보급된 문화국가를 실현하는 것이다. 그 이외에는 아무것도 꾀하지 않는 생각을 말한다. 왕도에서 그 나라가 강한가 아닌가는 관심거리가 아닌 것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