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미생지신 尾生之信 |  | |
| 미생지신 尾生之信
미생의 믿음. ① 신의가 굳음. (史記 蘇秦列傳) ②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음. (莊子 盜甁篇)
尾 꼬리 미. 生 날 생. 之 갈 지(…의). 信 믿을 신.
춘추시대, 노(魯)나라에 미생(尾生 : 尾生高)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어떤 일이 있더라도 약속을 어기는 법이 없는 사나이였다.
어느날 미생은 애인과 다리 밑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그는 정시(定時)에 약속 장소에 나갔으나 웬일인지 그녀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이 계속 그녀를 기다리고 있는데 갑자기 장대비가 쏟아져 개울물이 불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미생은 약속 장소를 떠나지 않고 기다리다가 결국 교각(橋脚)을 끌어안은 채 익사(溺死)하고 말았다.
˝미생(尾生)은 믿음으로써 여자와 더불어 다리 아래에서 만나기로 기약하고, 여자가 오지 않자, 물이 밀려와도 떠나지 않아, 기둥을 끌어안고서 죽었다.˝
信如尾生 與女子期於梁下 女子不來 水至不去抱柱而死.
① 전국시대, 종횡가로 유명한 소진(蘇秦)은 연(燕)나라 소왕(昭王)을 설파(說破)할 때, <신의 있는 사람의 본보기>로 앞에 소개한 미생의 이야기를 예로 들고 있다.
② 그러나 같은 전국시대를 살다간 장자(莊子)의 견해는 그와 반대로 부정적이었다.
장자(莊子)는 그의 우언(寓言)이 실려 있는《장자(莊子)》´도척편(盜甁篇)´ 에서 근엄 그 자체인 공자(孔子)와 대화를 나누는 유명한 도둑 도척(盜甁)의 입을 통해서 미생을 이렇게 비판하고 있다.
˝이런 인간은 책형(?刑:죄인을 기둥에 묶고 창으로 찔러 죽이던 형벌)당한 개나 물에 떠내려간 돼지 아니면 쪽박을 들고 빌어먹는 거지와 마찬가지다. 쓸데없는 명목(名目)에 구애되어 소중한 목숨을 소홀히 하는 인간은 진정한 삶의 길을 모르는 놈이다.˝ 하고, 그 어리석음을 규탄하면서 이는 신의에 얽매인 데서 오는 비극이라 하였다.
[동의어] 포주지신(抱柱之信)
[출전] 史記 蘇秦列傳 / 莊子 盜甁篇
http://hevent.changwon.go.kr/roks821 에서 발췌하였습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