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용두사미(龍頭蛇尾)

용두사미(龍頭蛇尾)

[字解]
龍(용 용)
頭(머리 두)
蛇(뱀 사)
尾(꼬리 미)

[意義]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란 말로, 처음 시작은 아주 그럴 듯하게 보였으나 끝부분에 가서는 제대로 완결짓지 못하고 흐지부지 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出典]
碧巖集(벽암집).

[解義]
송(宋)나라 시대에 목주(睦州)사람으로 진존자(陳存者)라 불리는 스님이 있었다.
용흥사(龍興寺)라는 절에 살고 있었는데, 뒷날 절에서 나와 각지로 돌아다니며 짚신을 삼아서 길 가는 나그네들이 주워 신도록 길바닥에 던져놓았다.

이 진존자가 나이가 많았을 때의 일이다.
선문답(禪問答)이라는 말이 있듯이 선종의 스님은 곧잘 찾아간 상대방 스님을 상대로 종교상의 깨달음에 대해 의론을 한다.
어느날 언제나 처럼 앞에 앉은 스님과 문답응 주고 받는데 갑자기 상대방이 큰소리로 치고 나왔다.
˝거참 일갈(一喝)당했는걸?˝
진존자가 투덜대며 상대방을 바라보자 또 큰소리를 치고 나왔다.
재치있는 태도와 말재간은 제법 도를 닦은 도승처럼 보였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니 어쩐지 수상쩍었다.
˝이 중은 얼른 보기엔 그럴듯하게 보이기는 한데 역시 참으로 도를 깨우치지 못한 것 같다. 모르긴 해도 한갓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이기 쉬울 것 같다(似則似 是則未是 只恐龍頭蛇尾).˝

이렇게 간파한 진존자가 상대에게 말했다.
˝이봐요, 큰소리만 쳐대고 위세는 있지만 정작 문답을 어떻게 마무리할 셈이요?˝
상대 스님은 그만 자기 속셈이 드러난 것을 알고 뱀의 꼬리를 내밀듯이 슬그머니 답변을 피하고 말았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