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刮目相對(괄목상대) |  | |
| 刮目相對(괄목상대)
[字解(자해)]
刮:깎을, 비빌 괄. 目:눈 목. 相:서로 상. 對:마주 볼, 대할 대.
[意義(의의)]
눈을 비비고 본다는 뜻.
곧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전에 비하여 딴 사람으로 볼 만큼 부쩍 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 원전은 ´刮目相對´이지만 흔히 ´刮目相待´로 쓰기도 함.
[出典(출전)]
三國志(삼국지) - 吳志 呂蒙傳(오지 여몽전).
[解義]
삼국시대(三國時代) 초엽, 오왕(吳王) 손권(孫權 : 182-252)의 신하 장수 중에 여몽(呂蒙)이 있었다. 그는 무식한 사람이었으나 전공(戰功)을 쌓아 장군이 되었다.
어느 날 여몽은 손권으로부터 공부하라는 충고를 받았다. 그래서 그는 전지 (戰地)에서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고[手不釋券(수불석권)]´ 학문에 정진했다.
그 후 중신(重臣) 가운데 가장 유식한 재상 노숙(魯肅)이 전시 시찰길에 오랜 친구인 여몽을 만났다.
그런데 노숙은 대화를 나누다가 여몽이 너무나 박식해진 데 그만 놀라고 말았다.
˝아니, 여보게. 언제 그렇게 공부했나? 자네는 이제 ´오나라에 있을 때의 여몽이 아닐세 (非復吳下阿夢:link#1 참고)´ 그려.˝
그러자 여몽은 이렇게 대꾸했다.
˝무릇 선비란 헤어진 지 사흘이 지나서 다시 만났을 때 ´눈을 비비고 대면할 [刮目相對]´ 정도로 달라져야 하는 법이라네.˝ [ 至於今者 學識莫博 非復吳下阿夢曰 士別三日 卽當刮目相對.]
[여몽(呂蒙)]
재상 노숙이 병사(病死)하자 여몽은 그 뒤를 이어 오왕 손권을 보필, 국세(國勢)를 신장하는데 힘썼음. 여몽은 촉(蜀) 땅을 차지하면 형주[荊州:호남성(湖南省)]를 오나라에 돌려주겠다던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유비(劉備)의 촉군(蜀軍)을 치기 위해 손권에게 은밀히 위(魏)나라의 조조(曺操)와 화해 제휴할 것을 진언, 성사시키고 기회를 노렸음. 그러던 중 형주를 관장하고 있던 촉나라의 명장 관우(關羽)가 중원(中原)으로 출병하자 여몽은 이 때를 놓이지 않고 출격하여 관우의 여러 성(城)을 하나하나 공략(攻略)한 끝에 마침내 관우까지 사로잡는 큰 공을 세움으로써 오나라의 백성들로부터 명장으로 추앙을 받았음.
[참고]
국어사전에서의 풀이(한자표기를 유의하세요)
괄목―상대(刮目相待·刮目相對)[명사] [주로 손아랫사람의 학식이나 재주 따위가 놀랍도록 향상된 경우에, 이를 놀라워하는 뜻으로 쓰이어] 눈을 비비고 다시 봄.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