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노마지지 (老馬之智)
노마지지 (老馬之智)

[字解]
老(늘을 노)
馬(말 마)
之(어조사 지)
智(슬기 지)

[意義]
늙은 말의 지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리도 저마다 장기(長技)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경험을 쌓은 사람이 갖춘 지혜를 말하기도 한다.

[出典]
한비자(韓非子:link#1)〈설림(說林)〉 상편(上篇).

[解義]
춘추시대 오패(五覇)의 한 사람이었던 제(齊)나라 환공(桓公:link#2) 때의 일이다.
어느 해 봄, 환공은 명재상 관중(管仲)과 대부(大夫) 습붕(습朋)을 대동하고 고죽국(孤竹國:하북성(河北城)내)을 정벌하였다.
그런데 전쟁이 의외로 길어지는 바람에 그해 겨울에야 끝이 났다.

그래서 혹한 속에 지름길을 찾아 귀국하다가 길을 잃고 말았다.
전군(全軍)이 진퇴양난(進退兩難)에 빠져 떨고 있을 때 관중이 말하였다.
“이런 때 늙은 말의 지혜가 필요하다[老馬之智可用也(노마지지가용야)].”
즉시 늙은 말 한 마리를 풀어 놓았다. 그리고 전군이 그 뒤를 따라 행군한 지 얼마 안되어 큰길이 나타났다[乃放老馬而隨之 遂得道行(내방노마이수지 수득도행)].

또 한번은 산길을 행군하다가 식수가 떨어져 전군이 갈증에 시달렸다.
그러자 이번에는 습붕이 말하였다. “개미란 원래 여름엔 산 북쪽에 집을 짓지만 겨울엔 산 남쪽 양지 바른 곳에 집을 짓고 산다. 흙이 한 치[寸]쯤 쌓인 개미집이 있으면 그 땅속 일곱 자쯤 되는 곳에 물이 있는 법이다.”
군사들이 산을 뒤져 개미집을 찾은 다음 그곳을 파 내려가자 과연 샘물이 솟아났다.

이 이야기에 이어 한비는 그의 저서《한비자》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관중의 총명과 습붕의 지혜로도 모르는 것은 늙은 말과 개미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 그러나 그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자신이 어리석음에도 성현의 지혜를 스승으로 삼아 배우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잘못된 일이 아닌가.”

노인 인구가 증가되면서 새로운 노인문제가 대두되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노인 인구의 노동력 활용’문제일 것이다. 고령으로 인해 다소 둔하고 기민한 적응력이 부족하긴 하지만, 그들의 오랜 경험은 어디서도 구할 수 없는 소중한 재산이다.
우리도 무조건 은퇴만 시키기보다 활용할 묘방을 찾아야 할 것이다

[同意語]
노마식도(老馬識道)
노마지도(老馬知道)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