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梁上君子(양상군자)

梁上君子(양상군자)

[字解]
梁 들보 량.
上 위 상.
君 임금, 군자 군.
子 아들, 사람 자.

[意義]
´대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으로,
´집 안에 들어온 도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出典]
후한서(後漢書:Link#1) - 진식전(陳寔傳).

[解義]
후한 말엽, 진식(陳寔)이란 사람이 태구현(太丘縣 : 河南省 所在) 현령(縣令) 으로 있을 때, 그는 늘 겸손한 자세로 현민(縣民)의 고충을 헤아리고 매사를 공정하게 처리함으로써 존경을 한 몸에 받았다.
그런데 어느 해 흉년이 들어 현민의 생계가 몹시 어려웠다.

그러던 어느 날 밤, 진식이 대청에서 책을 읽고 있는데 웬 사내가 몰래 들어와 대들보 위에 숨었다. 도둑이 분명했다.

진식은 모르는 척하고 독서를 계속하다가 아들과 손자들을 대청으로 불러모았다. 그리고 이렇게 말했다.
˝사람은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악인(惡人)이라 해도 모두 본성이 악해서 그런 것은 아니다. 습관이 어느덧 성품이 되어 악행도 하게 되느니라. 이를테면 지금 ´대들보 위에 있는 군자[梁上君子]´도 그렇다.˝

그러자 ´쿵´하는 소리가 났다. 진식의 말에 감동한 도둑이 대들보에서 뛰어 내린 것이다. 그는 마루바닥에 머리를 조아리고 사죄했다. 진식이 그를 한참 바라보다가 입을 열었다.
˝네 얼굴을 보아하니 악인은 아닌 것 같다. 오죽이나 어려웠으면 이런 짓을 했겠나.˝
진식은 그에게 비단 두 필을 주어 보냈다. 이로부터 이 고을에 다시는 도둑이 나타나지 않았다.

[原文]
時勢荒民儉 有盜夜入其室 止於梁上 寔陰見乃起自整拂呼命子孫 正色訓之曰 夫人不可不自 勉 不善之人未必本惡 習以性成 遂至於此梁上君子者是矣 盜大驚自投於地 稽?歸罪 寔徐 譬之曰 視君狀貌不似惡人 宜深剋己反善然此當由貧困 令遺絹二匹 自是一縣無復盜竊.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