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換骨脫胎(환골탈태) |  | |
| 換骨脫胎(환골탈태)
[字解]
換(바꿀 환)
骨(뼈 골)
脫(빼앗을 탈)
胎(태아 태).
[意義]
뼈를 바꾸고 태아를 빼앗는다는 말로, 용모가 전혀 몰라볼 정도로 아름다워지거나, 시나 문장이 다른 사람의 손을 거침으로서 완전히 새로운 뜻과 미(美)를 지니게 되는 것을 말한다.
[出典]
석혜홍(釋惠洪)의 냉재야화(冷齋夜話).
[解義]
소식(蘇軾)과 함께 북송을 대표하는 시인 황정견(黃庭堅:Link#1)이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시의 뜻은 끝이 없지만 사람의 재주는 한계가 있다. 한계가 있는 재주로 무궁한 뜻을 추구하려 한다면 도연명이나 두보라 해도 그 교묘함에 잘 이르지 못할 것이다. 뜻을 바꾸지 않고 자기 말로 바꾸는 것을 환골법(換骨法)이라 하고, 그 뜻을 본받아 형용하는 것을 탈태법(脫胎法)이라 한다.˝
환골이란 원래 도가(道家)에서 영단(靈丹)을 먹어 보통사람들의 뼈를 선골로 만드는 것을 말하며, 탈태는 시인의 시상(詩想)이 마치 어머니의 태내에 아기가 있는 것처럼 그 태를 자기 것으로 하여 시적 경지로 승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환골탈태˝란 선배 시인들이 지은 시구(詩句)를 자기의 시에 끌어다가 쓰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시를 짓는 한 기법이다.
환골탈태를 잘 하려면 고인의 시를 많이 읽고, 전해 내려오는 자료를 수집하여 섭렵해야 하며 항상 자구(字句)를 다듬는 일에 정진해야 한다.
이렇게 꾸준히 노력하지 않으면 자칫 모방이나 표절에 머물기가 쉽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