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양두구육(羊頭狗肉) |  | |
| 양두구육(羊頭狗肉)
[字解(자해)]
羊 : 양 양
頭 : 머리 두
拘 : 개 구
肉 :고기 육.
[意義(의의)]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속은 변변치 못함을 이르는 말이다.
[出典(출전)]
안자춘추(晏子春秋:Link#1).
양자법언(揚子法言).
무문관(無門關).
[解義(해의)]
제(齊)나라에서 있었던 일이다.
제나라의 영공(靈公)은 여자에게 남자의 옷을 입혀 놓고 즐기는 이상한 취미가 있었다.
영공은 궁중의 모든 여자들에게 남장을 시켰다.
궁중에서 이런 일이 유행하자, 백성들 사이에서도 남장을 하는 여자들이 점차 늘어났다.
이렇게 이상한 풍속이 생겨나다 당황한 것은 영공이었다.
영공은 곧바로 전국에 방을 붙이게 했다.
˝여자들이 남자 옷을 입고 남장하는 것은 궁중에서만 허락한 일이다. 만일 백성들이 이런 일을 하면 큰 벌을 내린다.˝
그러나 남장 풍속은 쉽게 없어지지 않았다. 답답해진 영공은 재상인 안자를 불렀다.
˝백성들이 왜 금지령을 지키지 않는다고 생각하시오?˝
그러자 안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왕께서는 궁중의 여자들에게는 남장을 하라고 하시면서 백성들에게만 하지 말라고 하십니다. 그것은 마치 쇠머리를 문에 걸어 놓고 안에서는 말고기를 파는 것과 같은 일입니다. 궁중에서도 남장을 못하게 하십시오. 그러면 백성들 사이에서도 그런 풍조가 자연히 없어지게 될 것입이다.˝
안자의 말을 들은 영공은 궁중에서도 남장을 하면 안 된다는 명을 내렸습니다.
그러자 얼마 후, 백성들 사이에서 남장 풍습이 자취를 감추었습니다.
양두구육은 바로 여기서 유래된 말로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입니다.
겉은 훌륭하나 내세우는 속이 변변치 않다는 말로도 쓰이고, 또 겉은 훌륭해 보이나 비열한 행동을 일삼는 사람을 비꼬는 말로도 널리 쓰입니다.
[원말]
현양두매구육(懸羊頭賣狗肉).
[同意語]
현양수매마육(懸羊首賣馬肉).
현우수매마육(懸牛首賣馬肉).
[類似語]
양질호피(羊質虎皮:겉은 화려하나 본바탕은 좋지 못하다.)
현옥매석(衒玉賣石:옥을 진열해 놓고 돌을 판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