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遼東之豕(요동지시)

遼東之豕(요동지시)

[字解]
遼(멀,나라이름 요)
東(동녘 동)
之(어조사 지)
豕(돼지 시)

[意義]
요동의 돼지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오만한 탓에 하찮은 공을 득의양양하여 자랑함을 비유한 말.

[出典]
문선(文選).
후한서(後漢書)-주부전(朱浮傳).

[解義]
후한(後漢) 건국(建國) 직후. 어양태수(漁陽太守) 팽총(彭寵)이 논공행상(論功行賞:link#1)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꾀하자 대장군(大將軍) 주부(朱浮)는 그의 비리를 꾸짖는 글을 보냈다.

˝그대는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는가?
´옛날에 요동 사람이 그의 돼지가 대가리가 흰 도야지를 낳자 이를 진귀하게 여겨 왕에게 바치려고 하동(河東)까지 가 보니 그곳 돼지는 모두 대가리가 희므로 크게 부끄러워 얼른 돌아갔다.´
지금 조정에서 그대의 공(功)을 논한다면 폐하[광무제(光武帝):link#2]의 개국에 공이 큰 군신 가운데 저 요동의 돼지[遼東之豕]에 불과함을 알 것이다.˝

팽총은 처음에 후한을 세운 광무제 유수(劉秀)가 반군(叛軍)을 토벌하기 위해 하북(河北)에 포진(布陳)하고 있을 때에 3000여 보병을 이끌고 달려와 가세했다.
또 광무제가 조(趙)나라의 도읍 한단(한鄲)을 포위 공격했을 때에는 군량 보급의 중책(重責)을 맡아 차질없이 완수하는 등 여러 번 큰공을 세워 좌명지신(佐命之臣;천자를 도와 천하 평정의 대업을 이루게 한 공신)의 한 사람이 되었다.
그러나 오만 불손한 팽총은 스스로 연왕(燕王)이라 일컫고 조정에 반기를 들었다가 2년후 토벌당하고 말았다.

[同意語]
遼東豕(요동시)

[준말]
遼豕(요시).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