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전전긍긍 戰戰兢兢

전전긍긍 戰戰兢兢

[字解]
戰(싸울 전)
戰(싸울 전)
兢(삼갈 긍)
兢(삼갈 긍)

[意義]
겁을 먹고 벌벌 떨며 몸을 움츠린다는 뜻으로, 위기감에 절박해진 심정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시경(詩經)-소아편(小雅篇).
논어(論語)-태백편(泰伯篇).

[解義]
전전(戰戰)이란 겁을 집어먹고 떠는 모양을, 긍긍(兢兢)은 몸을 삼가고 조심하는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 〈소아편(小雅篇)〉의 소민(小旻)에서 찾을 수 있다.
감히 맨손으로 범을 잡지 못하고[不敢暴虎],
감히 걸어서 황허강을 건너지 못한다[不敢憑河].
사람들은 그 하나는 알지만[人知其一],
그 밖의 것들은 알지 못한다[莫知其他].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기를[戰戰兢兢]
마치 깊은 연못에 임한 것같이 하고[如臨深淵],
살얼음 밟듯이 해야 하네[如履薄氷].

이것은 악정(惡政)을 한탄한 시이다. 이 시가 지어진 시기는 서주(西周) 말기였다.
당시는 씨족 봉건사회가 붕괴되고 왕정이 쇠락하여 주공(周公)의 법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던 때로 천하가 위험한 시기였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앞의 이득과 손해에만 매달려 그것이 뒤에 큰 재앙이 될 것을 알지 못했다.
다만 조심성 있는 사람들만이 그 악정 속을, 깊은 연못가에 있는 것처럼 또는 살얼음을 밟는 것처럼 불안에 떨며 조심한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태백편(泰伯篇)〉에도 이 시구가 인용된다.
증자가 병이 있어 제자들을 불러 말하였다. 내 발을 펴고 내 손을 펴라. 시경에서는 ‘매우 두려운듯이 조심하고, 깊은 연못에 임한 것같이 하고, 얇은 얼음을 밟은 것같이 하라’고 했다. 지금 이후로 나는 그것을 면함을 알겠다[曾子有疾 召門弟子曰 啓予足 啓予手 詩云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氷 而今而後 吾知免夫 小子].

《시경》과 《논어》의 전전긍긍은 스스로가 자신을 반성하며 두려워하는 좋은 의미의 두려움이었다.
그러나 이것이 요즈음에는 그 뜻이 전이되어 부정적 의미로 이해된다. 즉 죄나 잘못을 저질러놓고 그것이 발각될까봐 두려워한다거나 어떤 사건의 여파가 자신에게 미칠까 불안에 떠는 경우 등에 흔히 쓰인다.

[同意語]
戰戰恐恐(전전공공)

[類似語]
小心翼翼(소심익익:Link #1)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