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塞翁之馬(새옹지마)`

塞翁之馬(새옹지마)

[字解]
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之 어조사 지.
馬 말 마.

[意義]
변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
인생의 길흉화복은 늘 바뀌어 변화가 많음을 이르는 말.
*새옹이란 새상(塞上:북쪽 국경)에 사는 늙은이란 뜻이다.

[出典]
淮南子(회남자)-人間訓篇(인간훈편) .

[解義]
옛날 중국 북방의 국경 새상(塞上) 근처에 점을 잘 치는 한 노옹(老翁)이 살고 있었는데, 어느날 이 노옹의 말[馬]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났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노옹은 조금도 애석한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다.
˝누가 아오? 이 일이 복(福)이 될는지?˝

몇 달이 지난 어느날,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駿馬)를 데리고 돌아왔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치하(致賀)하자 노옹은 조금도 기쁜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다.
˝누가 아오? 이 일이 화(禍)가 될는지?˝

그런데 어느날, 말타기를 좋아하는 노옹의 아들이 그 오랑캐의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하자 노옹은 조금도 슬픈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다.
˝누가 아오? 이 일이 복이 될는지?˝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어느날, 오랑캐가 대거 침입해 오자 마을 장정들이 활을 들고 싸움터에 나가 모두 전사하였는데 늙은이의 아들만은 다리가 절름발이여서 부자가 모두 무사할 수 있었다.

이 말은 또한 원(元)나라의 승려 희회기(熙晦機)의 시에 ˝인간만사는 새옹의 말이다. 추침헌 가운데서 빗소리를 들으며 누워 있다[人間萬事塞翁馬推枕軒中聽雨眠]˝라고 적혀 있다.

그러므로 인간세상에서 복(福)이 화(禍)가 되고 화(禍)가 복(福)이 되는 것은 그 변화가 너무 깊어 측량 할 수가 없다.

[원말]
人間萬事塞翁之馬(인간만사 새옹지마).

[同意語]
새옹마(塞翁馬), 북옹마(北翁馬)

[類似語]
塞翁得失(새옹득실). 塞翁禍福(새옹화복). 화복규승(禍福糾繩)..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뜻으로, 재앙이 복이 되기도 하고 복이 재앙이 되기도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관련어]
生者必滅(생자필멸: 살아 있는 것은 반드시 죽을 때가 있다.)
苦盡甘來(고진감래: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
榮枯盛衰(영고성쇠: 인생은 번성하기도 하고 쇠퇴하기도 한다.)
吉凶禍福(길흉화복: 길흉과 화복. 즉 사람의 운수를 이른다.)
轉禍爲福(전화위복: 화가 바뀌어 복이 됨.)


[原文]
近塞上之人 有善術者 馬無故亡而入胡 人皆弔之 其父曰此何遽不爲福乎 居數月 其馬將胡駿 馬而歸 人皆賀之 其父曰 此何遽不爲禍乎家富良馬 其子好騎 墮而折其? 人皆弔之 其父曰 此何遽不爲福乎 居一年 胡人大入塞丁壯者引弦而戰 近塞之人 死者十九 此獨以跛之故 父 子相保 故福之爲禍 禍之爲福化不可極 深不可測也.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