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糟糠之妻(조강지처) |  | |
| [고사성어] 糟糠之妻(조강지처)
[字解]
糟(지게미 조)
糠(겨 강)
之(어조사 지)
妻(아내 처)
[意義]
지게미와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처녀로 시집와서 여러 해를 같이 살아온 아내라면 모두 조강지처라 할 수 있다.
[出典]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
[解義]
전한(前漢)을 찬탈한 왕망(王莽)을 멸하고 유씨(劉氏) 천하를 재흥(在興)한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 때의 일이다.
건무(建武) 2년, 감찰(監察)을 맡아보던 대사공(大司空:御史大夫) 송홍(宋弘)은 온후한 사람이었으나 간(諫)할 정도로 강직한 인물이기도 했다.
어느 날, 광무제는 미망인이 된 누님 호양공주(湖陽公主)를 불러 신하중 누구를 마음에 두고 있는지 그 의중을 떠보았다.
그 결과 호양공주는 당당한 풍채와 덕성을 지닌 송홍에게 호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 후 광무제는 호양공주를 병풍 뒤에 앉혀놓고 송홍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던 끝에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다.
˝흔히들 고귀해지면(천할 때의) 친구를 바꾸고, 부유해지면 (가난할 때의) 아내를 버린다고 하던데 인지상정(人之常情) 아니겠소?˝
그러자 송홍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폐하, 황공하오나 신은 ´가난하고 천할 때의 친구는 잊지 말아야 하며[貧賤之交 不可忘(빈천지교 불가망)], 지게미와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는 버리지 말아야 한다[糟糠之妻 不下堂(조강지처 불하당)]´고 들었사온데 이것은 사람의 도리라고 생각되나이다.˝
이 말을 들은 광무제와 호양공주는 크게 실망했다고 한다.
[원말]
糟糠之妻 不下堂(조강지처 불하당)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