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養虎有患(양호유환)
養虎有患(양호유환)

[字解]
養(기를 양)
虎(호랑이 호)
有(있을 유)
患(근심 환)

[意義]
호랑이를 길러 근심을 남긴다는 말로, 화근을 키워서 후에 화를 입게 됨을 비유한 말.
남의 사정을 봐주었다가 후에 화를 입게 된다는 뜻.

[出典]
사기(史記)-항우본기(項羽本紀).

[解義]
진(秦)나라 말기 초(楚)의 항우(link #2)와 한(漢)의 유방이 천하를 둘로 나누어 서로 천하를 제패하기 위한 싸움을 벌리고 있었다.
˝홍문(鴻門)의 회(會)˝(link #1)에서 아슬아슬하게 목숨을 건진 유방은 다시 일어설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그러던 중 항우가 초나라의 의제(義帝)를 시역했다는 말을 듣자 그를 위해 상복을 입고 역적을 주벌한다는 명목으로 항우 정토를 위한 군사를 일으켰다.
싸움은 한동안 항우측이 우세했으나 차츰 형세가 역전되어 유방측이 유리해 졌다.
유방은 이때가 적당한 시기라 보고 전에 사로잡힌 부친 태공(太公)과 부인 여씨(呂氏:뒤의 여태후)를 돌려보내 달라고 했다.
항우는 천하를 양분하여 홍구로부터 그 서족을 한의 영토로, 동쪽을 초의 영토로 한다는 조약을 맺고 태공과 여씨를 풀어 주었다.
강화를 맺은 항우는 약속대로 군대를 이끌고 동쪽으로 돌아갔다.
유방도 서쪽으로 철수하려고 하자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이 유방을 설득했다.

˝한(漢)은 이제 막 천하의 태반을 소유하고,제후와 민심이 모두 편들고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초의 군병은 지쳤고 식량도 모자라며 민심도 이반하고 있습니다. 이는 초를 멸망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이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고 천하를 탈취해야 합니다.
지금 항왕(項王)을 동쪽으로 돌아가게 하는 것은 호랑이를 길러 화근을 남기는 것[養虎有患]이 됩니다.˝

유방도 이 말에 수긍하고 즉시 항우를 추격했다.
항우는 유방이 조약을 파기한 데 대해 분노했지만,우세한 한군에 밀려 남하했다.
마침내 항우는 해하에서 사면초가(四面楚歌)가 되고 오강에서
권토중래(捲土重來)하지 못하고 그만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參考]
http://newsmaker.khan.co.kr/leports/n412g07.htm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