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瓜田李下(과전이하)
瓜田李下(과전이하)

[字解]
瓜(오이 과)
田(밭 전)
李(오얏나무 리)
下(아래 하)

[意義]
오이 밭에서 신을 고쳐 신지 말고, 오얏나무 아래서 갓을 고쳐 쓰지 말라는 뜻으로, 의심 받을 짓은 처음부터 하지 말라는 말이다.

[出典]
유향(劉向)-열녀전(烈女傳)의 절의편(節義篇).
문선(文選)-고악부편(古樂府篇)의 군자행(君子行).

[解義]
중국 전한시대의 학자 유향의 열녀전에 아래와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다.
기원전 4세기경 제(齊)나라 위왕(威王) 때, 간신 주파호(周破胡)가 국정의 실권을 거머쥐고 있었다.
그는 국정을 마음대로 휘둘렀으므로 정치가 제대로 되지 않았으며,사복(私腹)을 채우기 위해 성실하고 청백한 신하를 모조리 추방했다.
이를 보다 못해 위왕이 총애하는 후궁 우희(虞姬)가 위왕에게 말했다.
˝전하, 주파호는 흑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의 관직을 박탈하고 북곽(北郭)선생과 같은 어진 선비를 등용하십시오.˝
이 사실을 알게 된 주파호는 오히려 우희와 북곽선생은 서로 좋아하는 사이라고 모함을 했다.
이 말을 들은 위왕은 그 즉시 우희를 감옥에 가두고, 관원에게 그 사실 여부를 조사하도록 했다.
관원들 역시 주파호에게 매수되어있어, 우희의 죄를 억지로 꾸미려고 했다.
위왕은 관원들의 보고를 듣고 미심쩍은 점이 있어 직접 우희를 심문했다.

그러자 그녀는 울면서 호소했다.
˝전하, 신첩은 10년 동안 전하를 한 마음으로 모셔 왔습니다.
그런데 불행히도 간신들의 모함을 받게 되었습니다.
신첩의 결백함은 푸른 하늘과 흰 해와 같습니다.
갈고 닦으면 옥이 되는 좋은 돌은 흙탕에 묻혀 있어도 천대받지 않습니다.
옛날에 유하혜(柳下惠)라는 사람은 겨울밤에 추위에 얼어붙은 여인을 자기 침상에 들여 몸을 녹여 주었다고 하지만, 그래도 남녀 사이를 의심하는 사람은 없었다고 합니다.
그것은 평소의 행동이 단정했기 때문입니다.
신첩에게 죄가 있다면, 오이밭에서 신을 고쳐신지 말고[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오얏나무 아래서 갓을 고쳐 쓰지 말라[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고 했듯이 남에게 의심받을 일을 피하지 못했다는 점과 신첩이 옥에 갇혀 있는데도 누구하나 변명해 주는 사람이 없었다는 것은 신첩의 부덕한 점이옵니다.
이제 신첩에게 죽음을 내리신다 해도 더 이상 변명치 않겠사오니 주파호같은 간신만은 내쳐 주시옵소서.˝
위왕은 우희의 충심어린 호소를 듣고 이제까지의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당장 주파호 일당을 삶아 죽이고 어지러운 나라를 바로잡았다고 한다.

<<문선(文選)>> 고악부편의 군자행에 다음과 같은 시구(詩句)가 나온다.
君子防未然(군자방미연:군자는 미연에 방지하고)
不處嫌疑間(불처혐의간:의심받을 짓은 피한다)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오이밭에서 신발을 고쳐 신지 않고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오얏나무 밑에선 갓을 고쳐 매지 않으며)
嫂叔不親授(형수씨와는 친히 주고받지 말고)
長幼不比肩(장유불비견:어른과 아이는 나란히 걷지 않는다)
여기서 ˝군자행˝은 군자(君子)가 세상을 살아가는 몸가짐을 말한 노래이다.
군자는 재앙이 일어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할 지혜가 있어야 하며, 혐의를 받을 일이나 그런 곳에는 처신하지 말아야 한다.
즉 오이밭에서 신을 고쳐 신는 것은 멀리서 보면 오이를 훔치는 것으로 보일 것이요, 오얏나무 아래서 갓을 바로 쓰면 오얏을 훔치는 것으로 의심받을 것이니 절대로 그와 같은 일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형제의 아내와 남편의 형제간에는 각별히 주의해야 하며, 연소자는 한발 뒤처져 가야 한다는 뜻이다.

˝과전이하˝는 ˝과전불납리˝와 ˝이하부정관˝에서 따서 성어화 한것이다.

[參考]
유향(劉向:link #1)
문선(文選:link #2)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