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衆寡不敵(중과부적)

衆寡不敵(중과부적)

[字解]
衆(무리 중)
寡(적을 과)
不(아니 부)
敵(적수 적).

[意義]
적은 수효가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

[出典]
맹자(孟子) - 양혜왕편(梁惠王篇).

[解義]
공자의 가르침을 받아 제국을 순방하며 인의(仁義)를 설파하고 다니던 맹자가 제(齊)나라 선왕(宣王)을 만나서 말했다.
˝왕께서 스스로 방일(放逸)한 생활을 하시면서, 나라를 강하게 하고 천하의 패권을 장악하려고 하시는 것은 그야말로 연목구어(緣木求魚: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와 같은 것입니다.
˝내가 하는 일이 그처럼 터무니없는 것입니까?˝
˝그렇습니다.˝
˝좀 더 자세히 가르쳐 주십시요.˝
˝지금 만약에 소국인 추(鄒)와 대국인 초(楚)가 싸운다면 왕께서는 어느쪽이 이기리라 생각하십니까?˝
˝그야 물론 초나라 쪽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소국은 결코 대국을 이길 수 없으며,소수는 다수를 도저히 이길 수 없고[衆寡不敵],약자는 강자에게 지게 마련이라는 것이 됩니다. 지금 천하에 천리 사방의 나라가 아홉 있는데.제나라도 그 하나입니다.
하나로 다른 여덟을 복종시키는 것은,소국인 추가 대국인 초에 대적하는 것과 다를 게 없습니다.˝

이렇게 단정해 놓고,맹자는 그의 왕도론(王道論)을 전개하여 힘으로서가 아니라 덕으로서 백성을 기쁜마음으로 복종케 하면 쉽사리 천하를 통일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