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靑出於藍(청출어람)
靑出於藍(청출어람)

[字解]
靑 푸를 청.
出 날 출.
於 어조사 어(…에,…에서,…보다).
藍 쪽 람.

[意義]
쪽에서 나온 물감이 쪽보다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가 스승보다 나음을 일컫는 말.

[出典]
荀子(순자) 勸學篇(권학편).

[解義]
이 말은 전국시대의 유학자(儒學者)로서 성악설(性惡說)을 창시한 순자(荀子) 의 글에서 나오는 한 구절이다.

학문은 그쳐서는 안된다. [學不可以己]
푸른색은 쪽에서 취했지만 [靑取之於藍]
쪽빛보다 더 푸르고 [而靑於藍]
얼음은 물이 이루었지만 [氷水爲之]
물보다 더 차다. [而寒於水]

학문에 뜻을 둔 사람은 끊임없이 발전과 향상을 목표로 하여 노력해야 하고 중도에서 그만두어서는 안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사람의 학문은 더욱 깊어지고 순화되어 한 걸음씩 완성에 가까워질 수 있다.

여기서 ´푸름과 얼음´의 비유가 등장한다.
이 두 가지는 모두 사람에게 있어서는 학문과 마차가지로 그 과정을 거듭 쌓음으로써 그 성질이 더욱 깊어지고 순화되어 가는 것이다.
스승에게 배우기는 하지만 그것을 열심히 익히고 행함으로써 스승보다 더 깊고 높은 학문과 덕을 갖게 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재주 있는 사람을 ´출람지재(出藍之才)´라고 한다. 비록 제자일지라도 열심히 하면 얼마든지 스승을 능가할 수 있음을 강조한 순자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있다.
북조(北朝) 북위(北魏)의 이밀(李謐)은 어려서 공번을 스승으로 삼아 학문을 하였다.
그는 학문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빨라 열심히 노력한 결과 몇 년이 지나자 스승의 학문을 능가하게 되었다. 공번은 이제 그에게 더 이상 가르칠 것이 없다고 생각하고 도리어 그를 스승으로 삼기를 청했다.
그러자, 친구들은 그의 용기를 높이 사고 또 훌륭한 제자를 두었다는 뜻에서 ´청출어람(靑出於藍)´이라고 칭찬했다.
우리 속담에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後生角高)´는 말이 있는데, 이는 ´출람지재´ ´출람지예(出藍之譽)´ 등과 함께 ´청출어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준말]
출람(出藍)

[同意語]
출람지예(出藍之譽), 출람지재(出藍之才), 후생각고(後生角高).
출람지영예(出藍之榮譽).

[註] 순자는 인간의 천성, 즉 타고난 성질은 악한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천성을 그대로 두면, 성장한 다음 나쁜 짓을 거듭하고, 자기 멋대로 행동해 결국 사회 질서나 규율이 없어지고, 인간 생활이 성립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해 심오하고 훌륭한 교양을 터득하게 하고, 이성을 길러 악한 천성을 뜯어 고쳐야 한다고 했다.
그는 학문이란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이므로 중지해서는 안 되며 청색이 쪽빛보다 푸르고, 얼음이 물보다 차듯이 스승을 능가하는 학문의 깊이를 가진 제자도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參考] 쪽 : 마디풀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잎은 쪽빛 색소인 인디고(indigo)가 들어 있어 염료로 쓴다. 이것을 짓이겨 물에 담가두면 푸른빛의 물감이 된다. 쪽풀은 본디 초록빛이지만 물감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검푸른 청색이 되어 본래의 색보다 훨씬 아름다운 청색으로 변하는 것이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