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회계지치 會稽之恥
회계지치 會稽之恥

[字解]
會 : 모을 회
稽 : 상고할 계
之 : 갈 지
恥 : 부끄러울 치

[意義]
회계산(會稽山)의 치욕을 씻었다는 뜻.

[出典]
사기(史記) - 월세가(越世家).

[解義]
중국 춘추(春秋)시대 월왕(越王) 구천(勾踐)은 저장성[浙江省]의 후이지산[會稽山]에서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패하여 사로잡힌 몸으로 갖은 수모를 당하고, 겨우 본국으로 돌아가 20년간 상담(嘗膽)의 고생 끝에 오나라를 멸망시켜 후이지산의 수치를 씻었다는 고사에 의한다.

[구천 勾踐 (?~BC 465)]
춘추시대 말기의 월(越)나라의 왕(재위 BC 496∼BC 465).
아버지 윤상(允常)이 죽은 뒤 왕위를 이어받자마자 오왕(吳王) 합려(闔閭)와 싸워 그를 죽였다. 합려의 아들 부차(夫差)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섶나무 위에서 자며 복수심을 불태웠다고 한다.
2년 후인 BC 494년에 구천은 부차에게 패배하여 회계산(會稽山)에 숨었다가 버티지 못하고 용서를 빌어 오왕의 신하가 되었다. 그 후 구천은 회계산의 치욕을 씻기 위하여 쓸개를 핥으면서 부국강병(富國强兵)에 힘썼다. 이것이 ‘와신상담(臥薪嘗膽)’의 고사(故事)이다.
그리하여 끝내 부차를 꺾어 자살하게 하고, 서주(徐州)에서 제후와 회맹(會盟)하여 패자(覇者)가 되었다. 그러나 그 후 명신(名臣) 범려(范 려)를 추방하고 대부 종(大夫 種)을 자살하게 하는 등 만년에는 지각없는 행동을 많이 하였다. 최근에 후베이성[湖北省] 장링[江陵]의 망산일호초묘(望山一號楚墓)에서 ‘월왕구천자작용검(越王勾踐自作用劍)’이라는 명(銘)이 있는 아름다운 동검(銅劍)이 출토되었다.


[부차 夫差 (?~BC 473)]
춘추시대 말기의 오(吳)나라 왕(재위 BC 496∼BC 473).
합려(闔閭)의 아들. 아버지가 월왕(越王) 구천(句踐)에게 패하여 죽자 그 유언을 받들어, BC 494년 월(越)나라에 복수하였다.
책사(策士) 오자서(伍子胥)가 구천을 죽여야 한다고 진언하였으나, 간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구천을 후이지산[會稽山]에서 근신하도록 허락하였다. 그러나 북진(北進)정책에만 신경을 쓰는 동안에, 설욕에 여념이 없던 구천이 범려(范려) 등의 보좌로 공격해와 태자를 사로잡았다. 화의(和議)를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하고, 2~3차례 월나라의 공격으로 오나라는 망하였다.
부차는 오자서의 간언을 듣지 않은 것을 후회하며 자살했다.

[출처]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