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傍若無人(방약무인)

傍若無人(방약무인)

[字解]
傍 곁, 의지할 방.
若 같을 약.
無 없을 무.
人 사람 인.

[意義]
´곁에 사람이 없는 것 같이 여긴다´는 말로, ´주위의 다른 사람을 전혀 의식하지 않은 채 제멋대로 마구 행동함´을 뜻함.

[出典]
사기(史記) - 자객열전(刺客列傳).

[解義]
전국 시대도 거의 막을 내릴 무렵, 즉 진왕(秦王) 정(政;훗날의 시황제)이 천하를 통일하기 직전의 일이다.
당시 포학 무도한 진왕을 암살하려다 실패한 자객 중에 형가(荊軻)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위(衛)나라 사람이었으나 위나라 원군(元君)이 써주지 않자 여러 나라를 전전하다가 연(燕)나라에서 축(筑;거문고와 비슷한 악기)의 명수인 고점리(高漸離)를 만났다.

형가와 고점리는 곧 의기투합(意氣投合)하여 매일 저자에서 술을 마셨다.
취기가 돌면 고점리는 축을 연주하고 형가는 노래를 불렀다. 그러다가 감회가 복받치면 함께 엉엉 울었다.

마치 ´곁에 아무도 없는 것처럼[傍若無人]´…….

여기서 원래 ´방약무인(傍若無人)´은 아무 거리낌없이 당당한 태도를 말하였는데 변해서 천방지축으로 날뛰고, 무례하거나 교만한 태도를 표현할 때 인용된다.

고사를 좀더 소개하자면, 이후 진(秦)나라의 정(政;훗날 시황제)에게 원한을 품고 있던 연나라의 태자 단(丹)이 형가의 재주를 높이 평가하여 그에게 진시황제 암살을 부탁하였다.
형가는 단의 부탁으로 진시황제 암살을 기도하였지만 진시황제의 관복만 뚫었을 뿐 암살은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그는 진시황제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암살하기 위해 진나라로 떠나기 전 그가 읊은 노래 “바람은 쓸쓸하고 역수는 찬데 장사 한 번 가면 다시 돌아오지 않는다[風蕭蕭兮易水寒 壯士一去兮不復還]”라는 구절은 유명하다. 이 노래를 들은 이는 모두 눈을 부라리고 머리카락이 하늘로 솟았다고 한다.

[類似語]
眼下無人(안하무인) : 눈 아래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교만하게 행동함.
輕擧妄動(경거망동) : 경솔하고 망령되게 행동하다.
傲慢無禮(오만무례) : 행동이 교만하고 예의없이 행동하다.
放벽奢侈(방벽사치) : 아무 거리낌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다.

[參考]
형가(荊軻)(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89619)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