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위편삼절(韋編三絶)

위편삼절(韋編三絶)

[字解]
韋 가죽 위.
編 엮을 편.
三 석 삼.
絶 끊을 절.

[意義]
책을 엮은 죽간(竹簡)의 가죽끈이 세번이나 끊어졌다는 말로,책을 여러 번 읽어 닳고 딣은 것을 말한다.
현대식으로 말하면, 한 권의 책을 몇십 번이나 되풀이해서 읽어서 책을 철(綴)한 곳이 닳아 흩어진 것을 다시 고쳐 매어서 애독(愛讀)을 계속하는 것을 말한다.

[出典]
사기(史記) - 공자세가(孔子世家).

[解義]

고대 중국에서는 책이 소위 몇십 장의 죽간(竹簡)을 가죽끈으로 철하여 만들었다. 그런데 그 끈이 몇 번이나 끊어지도록 책을 계속하여 읽는 것을 ´韋編三絶´ 이라고 한다.

´三絶´이란 딱 세 번에 한정된 수가 아니라, 몇 번이나 되풀이하여 끊어진다는 뜻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것은 고대 중국의 가장 위대한 역사가로 알려진 전한(前漢)의 사마천 (司馬遷)이 쓴 사기(史記) 가운데 공자전(孔子傳)에 실려 있는 말로, 공자가 만년에 역경(易經)을 애독하여 위편삼절(韋編三絶)에 이른 데서 나왔다고 한다.

공자(孔子)가 만년(晩年)에 역경(易經)을 좋아하여, 단(彖) 계(繫) 상(象) 설괘(說卦) 문언(文言)편을 서(序)하고, 역경(易經)을 읽어 위편삼절(韋編三絶) 하였다.
공자가 말했다.
˝만일 내게 몇 년의 시간을 더 준다면 나는 주역의 문사(文辭)와 의리(義理)에 통달할 수 있을 것이다.˝

죽간이 끊어질 정도로 책을 읽었다는 것은 그만큼 그에 빠지고 탐닉했다는 것이다.
이는 학문에 몰입하는 지극한 경지를 표현한 말이다.
독서를 권장하는 말에 開卷有益(개권유익)이란 것도 있다. 책은 읽지 않고 펼치기만 해도 유익하다는 뜻이다.

[參考]
죽간(竹簡)(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40918)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