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酒池肉林(주지육림)

酒池肉林(주지육림)

[字解]
酒(술 주)
池(연못 지)
肉(고기 육)
林(수풀 림).

[意義]
술로 못을 만들고 고기로 숲을 이루게 했다는 뜻으로 , 호화스런 생활과 계속되는 진수성찬의 술잔치, 즉 사치하고 음란함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사기(史記) - 은본기(殷本紀).
제왕세기(帝王世紀).
(十八史略).

[解義]
고대 중국의 하나라 걸왕(桀王)과 은나라 주왕(紂王)은 원래 지용(智勇)을 겸비한 현주(賢主)였으나 그들은 각기 말희, 달기라는 희대의 요녀독부(妖女毒婦)에 빠져 사치와 주색에 탐닉하다가 결국 폭군음주(暴君淫主)라는 낙인이 찍힌채 나라를 망치고 말았다.

하(夏)의 걸왕은 자기가 토벌, 멸망시킨 유시씨(有施氏)의 나라에서 공물로 바쳐진 말희라는 여자에게 마음을 빼앗겼다.
그는 말희를 위하여 보석과 상아로 꾸민 호화스런 궁전을 짓고 그 깊숙한 방에 옥으로 꾸민 침대를 놓고서 밤마다 일락(逸樂)에 빠졌다.
또 그녀가 바라는 대로 온 나라 안에서 3천명의 미소녀를 모아 그들에게 오색으로 수놓은 옷을 입히고 일대 무악을 벌리기도 하였다.
또 말희의 제안에 따라 궁원 일각에 커다란 연못을 파게 했다.
그 바닥에는 새하얀 옥돌을 깔고 연못 속에는 향기로운 미주(美酒)를 아낌없이 부었는데, 연못 둘레에는 언덕을 본따 고기의 산이 쌓아지고 고기포의 숲이 만들어 졌다.
왕은 말희와 함께 작은 배를 타고 술의 연못을 저어 다녔다.
3천의 미소녀들이 연못둘레에서 악기에 맞추어 춤을 추고, 신호의 북소리가 나면 연못으로 달려가 술을 마시고 숲의 육포를 뜯어 먹는 것을 기분좋게 바라보며 향락에 빠졌다.
이와 같은 사치생활의 연속은 곧 국고를 바닥나게 햇으며 인심의 이탈을 불러 일으켰으므로 하조(夏朝)의 멸망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이리하여 걸왕은 복속국인 은나라 탕왕(湯王)에게 주벌(誅伐)당하고 말았다.

또 은(殷)의 마지막 군주 주왕(탕왕 으로부터 28대째)을 사로 잡은 것은 유소시(有蘇氏)의 나라에서 바친 세상에서 보기 드문 미모와 음분(淫奔)을 깆춘 독부 달기였다.
싫증을 모르는 이 여성의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해 주왕은 가렴주구(苛斂誅求: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 들이고 무리하게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음)를 일삼았다.
녹대(鹿臺), 거교(鋸橋)의 창고에는 백성들에게서 거두어 들인 전백(錢帛)과 미속이 산같이 쌓이고, 온 나라의 진수기물(珍獸奇物)은 속속 궁중으로 몰려 들어 왔다.
또 막대한 물자와 인력을 소모하여 호화스런 궁전원지(宮殿園池)가 만들어 졌다.
연못에는 술이 가득 부어지고 술재강을 언덕삼고 고기를 매달아 숲을 만들었다.
악사에 명하여 새로 지은 북리무(北里舞),미미악(靡靡樂)등 몸도 혼도 녹여 버릴 듯한 음란(淫亂)한 음악에 맞추어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남녀의 무리가 그 근처를 쫓고 쫓기면서 광무하고 , 그것을 구경하는 사람들은 몰아(沒我)의 황홀경(惶惚境)에 젖어 연못의 술을 마시고 숲의 고기를 마구 뜯어 먹었다.
더구나 이같은 광연(狂宴)이 주야장천(晝夜長川) 120일이나 계속되니 이것을 ˝장야의음(長夜之飮)˝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광태는 이미 상궤(常軌)를 벗어 났는데도 뜻있는 사람들의 간언을 듣지 않고, 도리어 제왕의 행동을 비방한다는 죄를 씌워 잔인한 포락지형(포烙之刑:기름을 칠한 구리기둥[銅柱]을 숯불위에 놓고 죄인이 건너 가다가 미끄러져 떨어지면 숯불에 타죽게 하는 형벌)을 과했다.
주왕과 달기는 이 광경을 보면서 박장대소(拍掌大笑)를 하며 즐거워 했다고 한다.
이렇게 하여 폭군음주(暴君淫主)의 이름을 떨친 주왕도 걸왕의 전철(前轍)을 밟아 주(周)나라 무왕(武王)의 혁명앞에 힘없이 굴복하는 운명의 길을 걷고 말았다.

[參考]
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40790
http://kr.kids.yahoo.com/study/han/hanja/hanja_124.html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