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馬生角(마생각)

馬生角(마생각)

[字解]
馬(말 마)
生(날 생)
角(뿔 각).

[出典]
사기(史記) - 색은(索隱).

[意義]
세상에 결코 있을 수 없는 것의 비유로 오두백(烏頭白)이라고도 한다.

[解義]
전국시대 연(燕)나라에 태자 단(丹)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일찍이 조(趙)나라에 인질로 가 있었는데, 그때 그곳에서 출생한 진왕(秦王) 정(政:후의 진시황)과 가깝게 지냈다. 그 후 단은 인질이 풀려 조나라로 돌아왔다가, 정이 진왕으로 즉위하면서 이번에는 진에 인질로 가게 되었다.
당시는 강력한 진을 필두로 전국 7웅이 합종(合從), 연횡(連橫)을 번갈아 하면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에 태자가 인질로 가는 경우가 흔했다.
단은 진으로 가면서, 조나라에서 같이 불우한 시절을 보낸 진왕 정을 믿었는데, 진왕은 단을 좋게 대우해 주지 않았다. 진왕의 무례에 화가 난 단은 분개하여 본국으로 돌려 보내줄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그러자 진왕이 말했다. “그러지. 까마귀의 대가리가 희어지고, 말머리에 뿔이 나거든[烏頭白 馬生角] 돌려 보내 주지.” 그런 일은 일어날 수 없으므로 태자 단은 하늘을 우러러 탄식했다 한다. 혹은 이때 정말로 까마귀의 대가리가 희어지고 말머리에도 뿔이 났다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후일 단은 진을 탈출하여 연나라로 돌아와 이때의 원수를 갚으려 하였다.
태자 단은 자객 형가(荊軻)를 보내 진왕을 죽이려 했으나 결국 실패하고, 이 일로 격노한 진왕의 침입을 자초하게 되었다. 결국 연나라는 수도 계성(삽주 계城)을 함락당하고, 산둥[山東]으로 밀렸다가 진의 계속된 추격으로 결국 멸망하게 되었다.
진왕 정이 중국을 통일하고 진시황이 된 것은 연이 멸망한 이듬해이다.

오늘날에도 결코 일어날 수 없는 일을 비유할 때 까마귀의 머리가 하얗게 되고 말에 뿔이 난다고 한다.

[參考]
시황제(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01049)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