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視吾舌(시오설) |  | |
| 視吾舌(시오설)
[字解]
視(볼 시)
吾(나 오)
舌(혀 설)
[意義]
˝내 혀를 보아라˝는 뜻으로, 혀만 있으면 천하도 움직일 수 있다는 뜻으로 한 말이다.
[出典]
사기(史記) - 장의열전(張儀列傳).
[解義]
전국시대 때 언변과 재능이 뛰어난 장의(張儀)라는 사람이 있었다.
합종책을 성공시켜 6국의 재상을 겸임한 소진(蘇秦)의 친구인 그는 권모술수에 능한 귀곡자(鬼谷子)에게서 유세술(遊說術)을 배웠다.
장의는 학업을 마치자 제후들을 찾아가 유세하여 초(楚)나라의 재상 소양(昭陽)의 식객이 되었다.
어느날, 소양이 장의와 술을 마시던 중 초왕이 하사한 ˝화씨지벽(和氏之壁)˝(귀족들이 제레시 사용하던 고리 모양의 옥그릇)을 잃어버렸다.
그러자 다른 문객들은 장의를 의심하여 범인으로 지목했다.
˝가난뱅이 장의가 훔친 게 틀림없어.˝
그리하여 자백을 강요 당하면서 수십대의 매질까지 당했지만 훔치지 않은 걸 훔쳤다고는 할 수 없었다.
결국 풀려나 만신창이가 되어 집에 간신히 돌아온 장의에게 그의 아내가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어찌 이런 수모를 당하셨소. 글을 배워 유세하지 않았던들 이렇게까지 되었겠어요?˝
그러자 장의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 혓바닥을 보시게[視吾舌]. 아직 있소, 없소?˝
이 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인가. 아내는 어이없다는 듯이 웃으며 대답했다.
˝그래요. 혀야 붙어 있지요.˝
˝그러면 된 거요. 아무 문제 없소.˝
장의는 유세가에게 중요한 것은 몸뚱이가 아니라 혀이니, 이 혀만 무사히 잘 있으면 자신의 포부를 펼칠 수 있다고 믿은 것이다.
그 후 장의는 진나라 재상이 되었을 때 소공에게 이런 격문을 써서 보냈다.
˝지난날 내가 그대와 함께 술을 마실 때 내가 그대의 벽을 훔치지 않았는데도 내게 매질을 하였네.
이제 그대는 나라를 잘 지키도록 하게. 나는 그대 나라의 성읍(城邑)을 훔칠 터이니.˝
[同意語]
尙存吾舌(상존오설)
[參考]
합종책:전국시대 강국인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한 6국 동맹책.
연횡책:6국이 개별적으로 진나라를 상국으로 섬기게 하는 정책.
귀곡자(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24563).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