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불수진 拂鬚塵

불수진 拂鬚塵

[字解]
拂(털 불)
鬚(수염 수)
塵(티끌 진)

[意義]
수염의 먼지를 털어 준다는 뜻으로, 윗사람의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거나 윗사람에 대한 비굴한 태도를 비유하는 말이다.

[出典]
송사(宋史) - 구준전(寇準傳).

[解義]
송(宋)나라의 진종(眞宗) 때 재상 구준(寇準)이 있었다.
그는 정의롭고 강직하며 청렴결백한 관리였다. 그는 유능하고 지혜롭지만 관운이 따르지 않은 젊은이들을 과감히 발탁하여 나라의 일꾼으로 만들었다.
참정(參政:종2품) 정위(丁謂)도 그런 젊은이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정위는 비록 유능한 인재였지만 윗사람에게 비굴할 정도로 아부하는 못된 짓을 하여 주위의 따가운 눈총을 받기도 하였다.

한번은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다.
조정 중신들과 함께 회식하는데, 구준이 국을 잘못 떠 그만 수염에 국 찌꺼기를 묻혔다.
이때 이 모습을 본 정위는 쏜살같이 달려와 자신의 소맷자락으로 공손히 구준의 수염에 묻은 음식 찌꺼기를 털어 주는 것이었다.
이에 구준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아부하는 정위를 “참정이라면 한 나라의 중신인데 상관의 수염까지 털어줄 것까지 없지 않겠소[拂鬚塵].”라고 냉정하게 꾸짖으며 그의 아부하는 버릇을 일깨워 주었다.
그러자 정위는 어찌할 바를 모르고 고개도 들지 못한 채 그 자리를 떠났다고 한다.

불수진은 구준이 정위의 아부하는 버릇을 비유한 말이며, 줄여서 불수라고도 한다.
보통 아첨을 받는 사람은 권력이나 재력을 갖춘 자이고 아첨하는 사람은 그와 정반대의 위치에 있는 사람이다.
자신의 진정한 실력이 아닌 아첨으로 입신양명한 자는 언젠가는 자신도 아첨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며, 여기에는 부정, 부패, 비리가 늘 함께 따라다닌다.
이리하여 아첨의 악순환이 계속되는 것이다.

구준의 강직하고 정의로운 모습은 다음과 같은 데서도 볼 수 있다.
나라에 가뭄이 들어 왕이 그 대책을 묻자 구준은 “폐하의 형벌이 공평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왕이 공평하지 못한 형벌이 무엇이냐고 묻자, 구준은 “조길(祖吉)과 왕회(王淮) 두 사람 모두 뇌물을 받았는데 조길은 사형에 처해진 반면 왕회는 아무런 문책도 받지 않았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왕회는 참정 왕면의 동생이었다. 이에 왕은 재조사하도록 하여 결국 두 형제는 파면되었다.

[類似語]
상분지도(嘗糞之徒)(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701361)
요미걸련(搖尾乞憐:개가 꼬리를 흔들어 알씬거린다는 뜻)
아유구용(阿諛苟容:남에게 아첨하고 억지로 좋은 얼굴을 꾸며 보이는 것)

[參考]
송사(宋史)(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95511)
진종(眞宗)(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485663)
구준(寇準)(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21408).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