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조삼모사 朝三暮四

조삼모사 朝三暮四

[字解]
朝 : 아침 조
三 : 석 삼
募 : 모을 모
四 : 넉 사

[意義]
남을 농락하여 자기의 사기나 협잡술 속에 빠뜨리는 행위를 비유하는 말이다.

[出典]
열자(列子)-황제편(黃帝篇).
장자(壯子)-제물론(齊物論).

[解義]
중국 송나라 때 저공(狙公)이란 사람이 원숭이를 많이 기르고 있었는데 먹이가 부족하게 되자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말하기를 ˝앞으로 너희들에게 주는 도토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로 제한하겠다˝고 말하자 원숭이들은 화를 내며 아침에 3개를 먹고는 배가 고파 못견딘다고 하였다. 그러자 저공은 ˝그렇다면 아침에 4개를 주고 저녁에 3개를 주겠다˝고 하자 그들은 좋아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열자(列子)》 〈황제편〉에 나오는 이야기로 결국 조3모4나 조4모3(朝四暮三)이나 똑같은 숫자인 점에서 똑똑한 사람이 어리석은 사람을 속임수로 넘기는 데 비유하게 되었다.

[준말]
조삼(朝三).

[동의어]
조사모삼(朝四暮三).

[출처]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