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비조 鼻祖 |  | |
|
비조 鼻祖
[字解]
鼻(코 비)
祖(조상 조)
[意義]
어떤 일을 가장 먼저 시작한 사람 또는 모든 사물의 시초.
[出典]
정자통(正字通).
[解義]
일이나 사물(事物)의 「처음」을 뜻하는 한자 단어에 효시(嚆矢)와 남상(濫觴), 그리고 이번의 비조(鼻祖)가 있다.
먼저 조(祖)부터 보자. 사(社)는 땅(土)의 귀신(示)이라는 의미다.
곧 示는 정성을 「펴 보이다」는 뜻으로 귀신(鬼神)이나 제사(祭祀)를 뜻한다.
제사 (祭祀)와 祈 · 祝 · 祠 · 神 · 祐 · 祭 · 祥이 그렇다.
조(祖)는 示와 且의 결합(結合)으로 且는 지방(紙榜)을 붙여 놓은 위패(位牌) 또는 신주(神主)를 뜻한다.
곧 후손(後孫)이 신주(且)를 모셔놓고 제사(示)를 지낸다는 뜻으로 그 대상은 조상이 아닌가. 조상이라면 혈족의 시초(始初)가 된다.
시조(始祖)·원조(元祖)라는 말이 있다.
그런데 왜 하필이면 코를 뜻하는 비(鼻)자를 사용하여 「처음」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는지 선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물론 까닭이 있다.
옛날 중국 사람들의 의학 상식으로는 임신을 했을 때 인간의 신체기관 중에서 제일 먼저 형성되는 것이 코라고 여겼다. 의사가 아니라 진위여부(眞僞與否)는 알 수 없지만 어쨌든 그들은 그렇게 믿었다.
《정자통(正字通)》에 ˝인간의 배태(胚胎)에서 코가 먼저 형태를 받는다. 그러므로 시조를 일컬어 비조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래서 코(鼻)라면 ´사람의 시초(始初)´라는 뜻이 되어, 중국 사람들은 ´맨 처음´ 이라는 생각을 떠 올린다.
그들은 처음 낳는 아들을 비자(鼻子)라고 한다. 우리의 장자(長子),장남(長男)에 해당된다.
뿐만 아니라, 옛날 중국 화가들은 초상화(肖像畵)를 그릴 때에도 코부터 그렸다. 그것이 사람의 ´처음´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정자통 正字通]
중국의 사서.
명나라 말의 장자열(張自烈)의 저서이다.
12집(輯)으로 되어 있는데 청나라 초 요문영(廖文英)이 이 원고를 입수하여 새로 편집, 간행하였다.
체재는 《자휘(字彙)》의 형식을 따랐으며 ´일(一)´부에서 ´약(葵)´부까지 214부를 부수 배열로 하였고 한자는 획으로 찾게 하였다.
해설, 즉훈고해석(訓고解釋)은 《자휘》를 구본(舊本) 또는 구주(舊注)로 삼고 인용하나, 이것은 다시 그것을 크게 보완하여 출전(出典)을 명시하였다.
불전과 도교의 서적까지 이용하였으며, 거기에 관한 용어 해석도 자주 볼 수 있다.
이 체재는 《강희자전(康熙字典)》에 계승되었으나 반절(反切:자음표기)은 당시의 음을 그대로 따랐다. 부수에 대한 해석은 문자연구사의 한 자료가 된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