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股肱之臣(고굉지신)
股肱之臣(고굉지신)

[字解]
股(넓적다리 고)
肱(팔뚝 굉)
之(어조사 지)
臣(신하 신)

[意義]
다리와 팔뚝에 비길 만한 신하라는 뜻으로 임금이 가장 가까이하여 신임하는 중신(重臣)을 일컫는 말이다.

[出典]
서경(書經)-익직편(益稷篇).

[解義]
순임금이 말했다.
˝신하들이여,옆에 있으면 도와주오. 옆에서 어려울 때 도와주는 사람이 참된 신하로다.˝
우가 그 말을 받았다.
˝옳으신 말씀입니다.˝
순임금은 차분한 어조로 다시 말을 이었다.
˝그대들과 같은 신하들은 짐의 팔다리요 눈과 귀로다.
내가 백성들을 돕고자 하니 그대들도 힘써 도와 달라.
내가 위엄을 온 천하에 떨치려 하거든 그대들이 대신해 달라.
(臣作朕股肱耳目 予欲左右有民 汝翼 予欲宣力四方 汝爲)....나에게 어긋남이 있을때는 그대들이 나를 보필하여 규정(規正)해 달라.
내 앞에서 순종하는 척하고 물러간 후에 이러쿵저러쿵 쓸데없는 소리를 할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서 직접 충고해 달라.
그리고 전후좌우의 동료들을 서로 공경하여 예의에 어긋남이 없도록 하라.
관리들은 백성들의 뜻을 나에게 전하는 것이 임무이니 올바른 이치를 세상에 크게 선양토록 할 것이며,잘못을 뉘우치는 자가 있으면 받들어 등용하고 그렇지 않은 자에게는 철퇴를 가해 나라의 위엄을 보이도록 하라.˝

이와 같이 순임금은 신하들이 자신을 잘 보좌하여 제도와 형벌에 대해 힘써 줄 것을 당부했다. 순임금이 성군이 되는 데는 신하들의 보좌가 필요했고, 나라가 잘되기 위해서는 제도의 준수, 인애(仁愛)와 형벌의 병행이 필요했던 것이다.

[同意語]
고장지신(股掌之臣;다리와 손바닥 같은 신하)

[類似語]
주석지신(柱石之臣;나라를 떠바치는 중심이 되는 신하)
사직지신(社稷之臣:나라의 안위를 맡은 중신)

[준말]
고굉(股肱).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