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금의야행(錦衣夜行)

금의야행(錦衣夜行)

[字解]
錦(비단 금)
衣(옷 의)
夜(밤 야)
行(다닐. 행할 행).

[意義]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간다.
① 아무 보람없는 행동의 비유.
② 입신 출세(立身出 世)하여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음의 비유.

[出典]
한서(漢書)-항적전(項籍傳).
사기(史記)-항우본기(項羽本紀).

[解義]
유방(劉邦)에 이어 진(秦)나라의 도읍 함양(咸陽)에 입성한 항우(項羽)는 유방과는 대조적인 행동을 취했다. 우선 유방이 살려 둔 3세 황제 자영(子孀)을 죽여 버렸다(B.C. 206).
또 아방궁(阿房宮)에 불을 지르고 석 달 동안 불타는 그 불을 안주 삼아 미녀들을 끼고 승리를 자축했다. 그리고 시황제(始皇帝)의 무덤도 파헤쳤다. 유방이 창고에 봉인해 놓은 엄청난 금은 보화(金銀寶貨)도 몽땅 차지했다.

모처럼 제왕(帝王)의 길로 들어선 항우가 이렇듯 무모하게 스스로 그 발판을 무너뜨리려 하자 모신(謀臣) 범증(范增)이 극구 간했다. 그러나 항우는 듣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오랫동안 누벼 온 싸움터를 벗어나 많은 재보와 미녀를 거두어 고향인 강동 (江東)으로 돌아가고 싶어 했다.

그러자 한생(韓生)이라는 사람이 간했다.
˝관중(關 中: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분지)은 사방이 산과 강으로 둘러싸인 요충지인데다 땅 이 비옥하옵니다. 하오니 이곳에 도읍을 정하시고 천하를 호령하시오소서.˝
그러나 항우의 눈에 비친 함양은 황량한 폐허일 뿐이었다.
그보다 하루바삐 고향으로 돌 아가 성공한 자신을 과시하고 싶었다.

항우는 동쪽 고향 하늘을 바라보며 말했다.
˝부귀한 몸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은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는 것(錦衣夜行)´과 같아 누가 알아줄 것인가…….˝

항우에게 함양에 정착할 뜻이 없다 는 것을 안 한생은 항우 앞을 물러나자 이렇게 말했다.
˝초(楚)나라 사람은 ´원숭 이에게 옷을 입히고 갓을 씌워 놓은 것(沐후而冠)처럼 지혜가 없다´고 하더니 과연 그 말대로군.˝
이 말을 전해 들은 항우는 크게 노하여 당장 한생을 삶아 죽였다고 한다.

[同意語]
의금야행(衣錦夜行)
수의야행(繡衣夜行)

[反意語]
금의주행 (錦衣晝行)

[參考]
´금의야행´에서 ´금의주행(錦衣晝行:비단옷을 입고 낮길을 간다)´ ´금의환향(錦衣 還鄕:비단옷을 입고-입신 출세해서-고향으로 돌아간다)´이라는 말이 나왔음.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