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경광도협 傾筐倒협

경광도협 傾筐倒협

[字解]
傾 : 다할 경
筐 : 광주리 광
倒 : 엎을 도
협 : 상자 협 (筐의 王대신 夾)

[意義]
광주리를 기울이고 상자를 엎는다는 뜻으로, 가진 것을 남김없이 다 내놓아 극진히 환대함을 이르는 말이다.

[出典]
진서(晉書).

[解義]
진(晉)나라의 태위(太尉) 치감(智鑒)에게는 재색을 겸비한 딸이 있었다.
치감은 그 딸을 애지중지하며 훌륭한 배필을 구해 주려고 했다.
그는 백방으로 수소문한 결과 재상 왕도(王導)의 아들들이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총명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그의 문생(文生: 문하생)에게 왕도의 집으로 가서 아들들의 면모를 하나하나 꼼꼼히 살펴보고 오도록 하였다.

왕도의 자식들 또한 치감의 딸이 훌륭한 규수(閨秀)임을 익히 알고 있었다.
그녀의 집에서 사람이 온다는 소식을 듣자 모두들 최대한도로 잘 보여 사위로 뽑히고 싶어 긴장하였다. 단지 한 아들만은 이 일에 관심이 없다는 듯이 평소 하던대로 행동하였다. 그는 문생이 와서 지켜보는데도 개의치 않고 침상에서 배를 드러내놓고 음식을 먹었다. 이들을 관찰한 후 돌아온 문생은 치감에게 이들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보고했다.

그러자 치감이 말하였다.
˝바로 그 배를 드러내고 음식을 먹은 이가 내 사윗감일세.˝
그가 바로 후대에 서성(書聖)으로 이름을 떨친 왕희지(王羲之)였던 것이다. 치감의 딸은 왕희지와 혼례를 올렸다.

그후 친정으로 놀러왔다가 남동생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왕가(王家)의 사람들은 사안(謝安)과 사만(謝萬)이 온 것을 보고 즉시 광주리와 상자 속에 있던 음식을 꺼내 극진히 대접했어.˝

여기서 사안은 일찍부터 왕희지와 풍류자적(風流自適)을 즐겼으며, 행서(行書)를 잘 하였으며, 마흔이 넘어서 출사(出仕)하였는데, 재상의 자리까지 올랐다.

[同意語]
경광도기(傾筐倒기:기는 찬 선반이라는 뜻이다).

[參考]
진서(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43588)
왕희지(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17549)
사안(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83852)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