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배중사영(杯中蛇影)

배중사영(杯中蛇影)

[字解]
杯 술잔 배.
中 가운데 중.
蛇 뱀 사.
影 그림자 영.

[意義]
술잔 속에 비친 뱀의 그림자란 뜻으로, 쓸데없는 의심을 품고 스스로 고민 함의 비유한 말이다.

[出典]
후한 말의 학자 응소가 편찬한 《풍속통의(風俗通義)》와 《진서(晉書)》의〈악광전(樂廣傳)〉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解義]
진(晉:265∼316) 나라에 진(晉)나라에 어린 시절에 아버지를 잃고 생활이 어렵지만 한눈 팔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여 벼슬길에 오른 악광(樂廣)이 있었다.지혜로운 악광은 관리가 되어서도 매사에 신중하게 처리하였다.

악광이 하남 태수(河南太守)로 있을 때의 일이다.
자주 놀러 오던 친구가 웬일인지 발을 딱 끊고 찾아오지 않았다.
악광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어 그를 찾아가 물어 보았다.
˝아니, 자네 웬일인가? 요샌 통 얼굴도 안 비치니……. ˝

그 친구는 이렇게 대답했다.
˝저 번에 우리가 술을 마실 때 얘길세. 그때 술을 막 마시려는데 잔 속에 뱀이 보이는 게 아니겠나. 기분이 언짢았지만 그냥 마셨지. 그런데 그 후로 몸이 좋지 않다네.˝

악광은 이상한 일도 다 있다고 생각했다. 지난 번 술자리는 관가(官家)의 자기 방이었고, 그 방 벽에는 활이 걸려 있었지? 그렇다. 그 활에는 옻칠로 뱀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악광은 그 친구를 다시 초대해서 저 번에 앉았던 그 자리에 앉히고 술잔에 술을 따랐다.
˝어떤가? 뭐가 보이나?˝
˝응, 전번과 마찬가지네.˝
˝그건 저 활에 그려져 있는 뱀 그림자일세.˝
그 친구는 그제서야 깨닫고 병이 씻은 듯이 나았다고 한다.
(˝晉書˝〈樂廣傳〉)

후한 말 학자 응소(應 )의 조부 응침(應 )이 급현(汲縣)의 장관으로 있을 때 주부(主簿)인 두선(杜宣)과 술을 마셨다.
그런데 두선은 그의 술잔에 비친 활 그림자를 뱀으로 오인하여 마시기 싫었으나 마지 못해 마셨다. 그 후로 몸이 아파 백방으로 치료해 보았으나 병세는 오히려 악화될 뿐이었다.

응침이 그 변고를 물으니 이르되
“두려운 것은 이 뱀이 배 속으로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응침이 돌아와 그 일을 듣고 생각하다가 한참 후에 활이 걸려 있는 것을 보았다.

옛 그 자리에 두선을 실어 오게 하여 술자리를 마련하고 잔 속에 옛날 같이 뱀을 뜨게 한 다음 두선에게 이르기를
“이 벽 위에 있는 활 그림자 일 뿐 다른 이상한 것이 있지 않다.”
두선이 마침내 고민을 풀고 이로 말미암아 병이 나았다.
(問其變故하니 云하되 畏此蛇入腹中이니다. 還聽事하고 思惟良久顧見懸弩하다. 載宣於故處하여 設酒하고 杯中故復有蛇因謂宣此壁上弩影耳나 非有他怪 宣遂解 由是 平하다.)」
(風俗通怪神)

이처럼 아무 일도 아닌 것을 가지고 공공연히 걱정과 근심에 사로잡히는 것을 보고 배중사영이라고 한다. 우리 속담에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라는 말이 있다.언제, 어디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현대 사회이지만 지나친 그리고 쓸데없이 걱정하는 것은 오히려 해가 된다는 것을 암시하는 고사성어이다.

[類似語]
의심암귀(疑心暗鬼),
반신반의(半信半疑).
杞憂(기우).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