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哀而不悲(애이불비)


哀而不悲(애이불비)

[字解]
哀:슬플 애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悲:슬플 비.

[意義]
①속으로는 슬퍼하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슬프나 슬퍼하지 않으려 함. 반어적 표현.
②슬프기는 하나 지나치게 슬퍼하지 않음.=애이불상(哀而不傷)

[出典]
『삼국사기』신라 본기 진흥왕조.

[解義]
가야에서 신라로 망명한 우륵은 국원성, 곧 지금의 충주에 정착하면서 제자를 키우고 작곡을 하는 등 음악 활동에 몰두했다.

그는 상가라도, 하가라도, 달기, 거열 등 12곡의 가야고 곡을 지어 그의 제자인 법지와 계고, 만덕 등 세 사람에게 들려주었다. 스승의 작품 12곡을 들은 제자들은 그 음악이 ˝번거롭고도 음란(淫亂)하다[繁且淫]˝고 평하며 다섯 곡으로 압축하여 뜯어 고쳤다.

이 같은 사실에 우륵은 대단히 진노했다. 그러나 제자들이 개작한 음악을 거듭해 듣고 생각이 달라졌다 오히려 청출어람이라고나 할까, 제자들이 고친 음악이 한결 좋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즐겁되 막되지 않고 슬프되 비탄스럽지 않다[樂而不流 哀而不悲]˝고 감탄하며 가히 바르고 훌륭한 ´정악(正樂)´이라고 칭찬했다.

우륵이 이야기한 ´낙이불류 애이불비´라는 말은 ´논어´에서 공자가 말한 ´樂而不淫 哀而不傷´에서 마지막 글자들만을 바꾸어 사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자를 수입해서 이두문자까지 만들어 썼던 신라이고 보면 우륵이 이처럼 논어의 용어를 빌어서 음악을 언급한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김소월 <진달래꽃>

이러한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정서는 우리 전통 시가의 한 맥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가시리´, ´서경별곡´, ´아리랑´ 등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이 시의 제목이자 중심 소재인 ´진달래꽃´은 서정적 자아의 임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는 매개체가 된다. 진달래꽃을 임의 가는 길에 뿌리는 행위는 비록 자신을 떠나가는 임일지라도 사랑과 정성, 희생을 다하겠다는 화자의 심정을 상징하는 것이다. 서정적 자아는 ´죽어도´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는 반어적 의지, 애이불비(哀而不悲)의 태도, 억제된 슬픔의 정조로써 이별의 슬픔을 고귀하게 승화시키고 있다.

[參考]
삼국사기(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86065)
우륵( 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18852)


[字解]
哀:슬플 애
而:말이을 이
不:아닐 불
悲:슬플 비.

[意義]
①속으로는 슬퍼하지만 겉으로는 슬픔을 나타내지 아니함. 슬프나 슬퍼하지 않으려 함. 반어적 표현.
②슬프기는 하나 지나치게 슬퍼하지 않음.=애이불상(哀而不傷)

[出典]
『삼국사기』신라 본기 진흥왕조.

[解義]
가야에서 신라로 망명한 우륵은 국원성, 곧 지금의 충주에 정착하면서 제자를 키우고 작곡을 하는 등 음악 활동에 몰두했다.

그는 상가라도, 하가라도, 달기, 거열 등 12곡의 가야고 곡을 지어 그의 제자인 법지와 계고, 만덕 등 세 사람에게 들려주었다. 스승의 작품 12곡을 들은 제자들은 그 음악이 ˝번거롭고도 음란(淫亂)하다[繁且淫]˝고 평하며 다섯 곡으로 압축하여 뜯어 고쳤다.

이 같은 사실에 우륵은 대단히 진노했다. 그러나 제자들이 개작한 음악을 거듭해 듣고 생각이 달라졌다 오히려 청출어람이라고나 할까, 제자들이 고친 음악이 한결 좋음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즐겁되 막되지 않고 슬프되 비탄스럽지 않다[樂而不流 哀而不悲]˝고 감탄하며 가히 바르고 훌륭한 ´정악(正樂)´이라고 칭찬했다.

우륵이 이야기한 ´낙이불류 애이불비´라는 말은 ´논어´에서 공자가 말한 ´樂而不淫 哀而不傷´에서 마지막 글자들만을 바꾸어 사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자를 수입해서 이두문자까지 만들어 썼던 신라이고 보면 우륵이 이처럼 논어의 용어를 빌어서 음악을 언급한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 ˝나 보기가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김소월 <진달래꽃>

이러한 애이불비(哀而不悲)의 정서는 우리 전통 시가의 한 맥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가시리´, ´서경별곡´, ´아리랑´ 등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이 시의 제목이자 중심 소재인 ´진달래꽃´은 서정적 자아의 임에 대한 마음을 표현하는 매개체가 된다. 진달래꽃을 임의 가는 길에 뿌리는 행위는 비록 자신을 떠나가는 임일지라도 사랑과 정성, 희생을 다하겠다는 화자의 심정을 상징하는 것이다. 서정적 자아는 ´죽어도´ 눈물을 흘리지 않겠다는 반어적 의지, 애이불비(哀而不悲)의 태도, 억제된 슬픔의 정조로써 이별의 슬픔을 고귀하게 승화시키고 있다.

[參考]
삼국사기(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86065)
우륵( 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18852)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