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送舊迎新(송구영신)

送舊迎新(송구영신)

[字解]
送(보낼 송)
舊(예 구)
迎(맞을 영)
新(새 신)

[意義]
옛 것을 보내고 새로운 것은 맞는다는 뜻이다.

[出典]
서현(徐鉉)의 시구(詩句).

[解義]
寒燈耿耿漏遲遲, 送舊迎新了不欺.(한등경경루지지, 송구영신료불기).
찬 겨울 밤 등불은 깜빡이고 물시계의 시간은 더디 가건만, 옛 것을 보내고 새로운 것은 맞는 일은 속임(어김)이 없구나.
당(唐)나라 말기로부터 송(宋)나라 초기에 걸쳐 산 대학자이자 시인인 서현(徐鉉)의 詩句이다.

12월 31일. 한 해를 보내는 마지막 날이다. 아니다. 보내는 날이 아니라, 세월이 제 스스로 가는 날이다.
누군들 한 해를 보내고 싶어서 보내랴. 무심한 게 세월이라서 인간의 사정이야 어떻든 간에 서두름도 게으름도 없이 항상 같은 속도로 가는 것이 세월이요, 그 세월을 싣고서 억만 년을 한결같이 한 길만 오가는 융통성 없는 바보가 바로 태양이다.

물시계의 물소리를 듣듯 시계를 들여다보면 시계 바늘이 몹시도 더디게 가는 것 같더니만 어느 새 한 해가 다 가서 작년 오늘도 그랬듯이 올해 섣달 그믐날도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은 어김없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런데, 사실은 새해라고 해본들 별게 아니다. 태양은 어제 지던 대로 지고 또 어제 떠오르던 그 모습 그대로 떠오른다. 사람이 아무리 묵은해와 새해를 나누어 이야기해도 창공에 떠있는 해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이 그대로인 것이다.

그렇다! ´송구영신´은 태양의 이야기도 아니고 세월의 이야기도 아니다. 바로 우리들 마음의 이야기이다. 옛 것을 털어 버리고 보다 새로워지고 싶은 우리들 마음의 이야기인 것이다.

마음에 남아 있는 불필요한 찌꺼기들을 제야의 종소리에 실어 날려보내고 내일은 정말 깨끗하고 홀가분한 나로 다시 태어나도록 하자.

*寒:찰 한 燈:등잔 등 耿:불빛 경 漏:물 샐 루 遲:더딜 지 了:깨달을 료 欺:속일 기

[出處]
전북일보-김병기의 한문속 지혜찾기 2001.12.30.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