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無用之用(무용지용)

無用之用(무용지용)

[字解]
無(없을 무)
用(쓸 용)
之(어조사 지)
用(쓸 용)

[意義]
아무 쓸모없이 보이는 것이 때로는 어느 것보다 유용하게 쓰인다는 뜻.

[出典]
장자(莊子) 인간세편(人間世篇).외물편(外物篇).산수편(山水篇).

[解義]
도(道)의 입장에서 보면, 범속한 인간들이 말하는 유용이란 아무런 쓸모도 없는 잔꾀로 어리석음에 지나지 않고, 무용으로 보이는 것에 도리어 대용(大用), 진정한 용이 있다고도 말할 수 있지 않은가, 하고 비꼬기를 잘하는 장자는 ˝무용의 용˝을 강조했다.

인간세편(人間世篇)에 보이는 초나라의 은사(隱士)인 광접여(狂接與)가 공자에 대하여 비평한 것 중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들어 있다.
˝무릇 산의 나무는 쓸모가 있으므로 벌목이 되어 자기 몸에 해를 입는다.
등불은 밝기 때문에 불이 붙혀져 자기 몸을 태운다.
육계(肉桂)는식료가 되고 옷[漆]은 도료가 되므로 벌목도 당하고 꺽이기도 한다.
사람은 다 유용한 용만 알고 무용의 용은 알려고 하지도 않는다.참으로 가련한 일이다[人皆知有用之用 而莫知無用之用也].
광접여는 인의도덕으로써 난세에 유익한 일을 해보려고 애쓰는 공자의 태도를 풍자했다
쓸모없는 유용은 도리어 자신을 해치는 무익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한 것이다.

또 장자는 외물편(外物篇)에서 교묘한 비유를 들어 무용의 용을 명백하게 설명하고 있다.
˝자네의 의론은 무용하기 짝이 없다.˝고 하는 혜자(蕙子)의 비평을 듣고 장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아니, 무용하기 때문에 쓸모가 있다네. 인간이 서기 위해서는 발을 딛고 설 여지만 있으면 그만이지만, 그 자리만 남기고 둘레의 땅을 나락(奈落)의 밑까지 파버렸다고 생각해 보게. 그래도 발밑의 땅이 도움이 되겠는가.˝
˝그야 도움이 되지 않지.˝
˝그렇다면 쓸모없는 것이 쓸모있는 것이 되는 것 또한 알 수 있지 않은가[然則無用之爲用也亦明矣].˝

산목(山木篇)에는 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적혀 있다.
장자가 제자 한 사람과 길을 떠나 산길로 접어 들었을 때 가지가 무성한 큰 나무를 보았다.
그런데 부근에 잇는 나무꾼은 이 큰 나무에는 손을 대려고 하지 않았다.
그 까닭을 물으니, 이 나무는 잘라 봐야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장자는 제자에게 말했다.
˝이 나무는 쓸모가 없는 덕택으로 자기 천수를 다 할 수가 있었군[此木以不林得其天年].˝
그날 밤 친척 집에서 묵게 되었는데 기르고 잇던 기러기릴 잡아서 대접해 주었다.
두 마리의 기러기 중 잘 우는 것과 잘 울지 않는 것이 있는데 울지 않는 것이 쓸모가 없다고 해서 쓸모없는 쪽을 잡았다.
이것을 본 제자가 장자에게 물었다.
˝통 모르겠습니다. 이쯤되면 쓸모가 있는 것과 없는 것 중, 선생님께서는 대체 어느 편을 취하시겠습니까?˝
장자는 빙그레 웃으며 대답했다.
˝글쎄 말이다. 나라면 쓸모 있는 것과 없는 것의 중간에 있다고나 할까.
하기야 그것도 진정으로 도(道)에서 놀기에는 아직 부족하므로 다소 번거로움이 남는다. 진정으로 도에서 논다는 것은 칭찬도 받지 않고 나무람도 듣지 않고 그때 그때에 순응해서 조금도 잘난 체하지 않는 것.
뜨거나 가라앉거나 그대로 두어 남과 다투지 않고 도에다 몸을 맡겨 물(物)로 제어한다고 해도 당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아무런 누(累)도 남을 리가 없지 않은가.˝

[參考]
장자(莊子)(http://kr.encycl.yahoo.com/print.html?id=133212).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