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亂臣賊子(난신적자)

[고사성어] 亂臣賊子(난신적자)

[字解]
亂 : 어지러울 난
臣 : 신하 신
賊 : 해칠 적
子 : 아들 자

[意義]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을 일컫는 말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천하에 몹쓸 사람이나 역적의 무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出典]
맹자(孟子)〈등문공하〉 부자호변장(夫子好辯章).

[解義]
맹자의 제자 공도자(公都子)가 맹자에게, 사람들이 맹자를 가리켜 논쟁을 좋아한다고 하는데, 그 까닭을 알고 싶다고 하였다.
맹자는 자신이 논쟁을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천하의 도가 땅에 떨어졌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하는 것일 뿐이라고 대답하고, 이어 선대(先代)의 우(禹)임금과 주공(周公), 공자(孔子) 등 세 성인(聖人)을 계승하는 것이 자신의 뜻임을 밝히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옛날에 우임금이 홍수를 막으니 천하가 태평해졌고, 주공이 오랑캐를 아우르고 맹수를 몰아내니 백성들이 편안해졌고, 공자께서 《춘추(春秋)》를 완성하니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어버이를 해치는 자식들이 두려워하게 되었다[昔者禹抑洪水而天下平 周公兼夷狄驅猛獸而百姓寧 孔子成春秋而亂臣賊子懼]... 나도 사람들의 마음을 바로 잡고, 사설(邪說)을 없애고, 치우친 행동을 막고, 방자한 말을 몰아내어 세 분의 성자(聖者)를 계승하려고 한다. 내가 어찌 논쟁을 좋아하겠느냐? 말로써 양주(陽朱)와 묵적(墨翟)을 막아 낼 수 있는 사람은 성인의 무리인 것이다.˝.˝

난신적자는 윗글의 ´공자성춘추이난신적자구´에서 따온 것이다.
공자가 살았던 시기는 춘추시대로서, 도의가 땅에 떨어지고 세상이 쇠해 각종 사설(邪說)이 들끓어 신하가 임금을 죽이고, 자식이 어버이를 해치는 일이 생겨났는데, 공자가 이를 바로잡기 위해 천자(天子)의 일을 다룬 《춘추》를 완성함으로써 비로소 난신적자들이 두려워하게 되었다고 맹자는 말한 것이다.

후한서(後漢書) 동탁전(董卓傳)에도 ˝너희들은 반역하여 천자를 핍박하니, 역적들중에도 이제껏 너희같은 자들은 없었다[亂臣賊子未有如汝者]˝라는 구절이 보인다.

옛날 영국에서는 국사범들을 런던탑에 감금하였는데, 이 탑의 Thames강 쪽의 문을 ˝the Traitor´s Gate˝라 하였다.
이는 곧 亂臣賊子之門(난신적자지문)이다.

* 양주: 전국시대 위(衛)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거(子居). 맹자는 양주를 극단적인 이기주의자로 보았다.
* 묵적: 전국시대 노(魯)나라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묵자(墨子)라고 한다. 맹자는 그의 겸애설(兼愛說)을 극단적인 박애주의로 인식하였다.

[English]
-A rebellious subject.[반역(反逆, 반역(叛逆)]
-Rebels.[반역자, 반도(叛徒)]
-Treacherous officials.[반역하는 공직자(公職者)]
* Treacherous: 배반하는, 반역하는, 믿을 수 없는
-Traitors.[반역자, 역적, 매국노(賣國奴)]
-Immorality.[부도덕(不道德), 패륜(悖倫)].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