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강노지말(强弩之末) |  | |
| 의미:센 놋쇠로 쏜 화살도 먼 데까지 다 가면 힘이 다해서 노(魯)나라에서 나는 얇은 명주도 뚫을 수 없다는 문맥에서 유래.(强弩之末, 力不能入魯縞). 강대한 힘일지라도 최후의 쇠약해짐에는 어쩔 수 없다는 뜻으로 쓰인다.
고사:한고조는 자기 군사보다 몇배나 수가 많은 항우를 패배시켰기 때문에 흉노쯤하고 정벌하려 고 출전했다가 포위되고 말았다. 이때 진평(陳平)이 묘안을 내어 포위망을 간신히 벗어났다. 이일 후로 한고조는 흉노족과 화친을 맺고 매년 선물(공물)을 보내었다. 그러나 선우가 약속 을 어기고 무례한 행동을 많이 했다. 한무제 때가 되어 흉노족을 무력으로 응징하기로 결정 하고 대신들과 이 문제를 논의하게 되었다. 이때 어사대부 한안국은 흉노를 공격하는 원정 계획을 반대하며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이야기 했다. ˝힘찬 활에서 튕겨나간 화살도 마지막에는 비단조차 뚫기 어렵습니다.˝ 화식전(貨殖傳)에 보 면 ˝백리불판초 천리불판조(白里不販樵 千里不販 )˝ 교통이 불편하던 당시에는 백리 정도 먼 곳에 나무를 팔러갖 않고 천리에 쌀을 팔러가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