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遊刃有餘(유인유여)

[고사성어] 遊刃有餘(유인유여)

[字解]
遊(놀 유)
刃(칼날 인)
有(있을 유)
餘(남을 여)

[意義]
일처리가 매우 능수능란(能手能爛)함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장자(莊子) 제3 양생주(養生主)편.

[解義]
전국(戰國) 시대, 위(魏)나라에 최고의 소잡이인 포정(庖丁)이 있었다.
한번은, 문혜군(文惠君)이 그를 불러 소를 잡게 하였다.
포정은 칼을 휘저으며 매우 신속하게 소를 잘랐다.
그의 손놀림, 발놀림 등은 음악과도 같은 소리를 내며, 마치 춤을 추는 듯 했다.
문혜군은 이를 보고 감탄하였다.
˝아! 정말 훌륭하도다. 소 잡는 기술이 어떻게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

포정은 칼을 놓고 대답했다.
˝제가 좋아하는 것은 도(道)이니 기술보다 나은 것입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보이는 것은 모두 소뿐이었습니다. 하지만 3년이 지난 지금, 소의 온 모습은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즈음 저는 정신으로써 소를 처리하고 있지, 눈으로는 보지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이 자연스럽게 작용하게 된 것입니다. 천리(天理)를 따라 큰 틈새와 빈 곳에 칼을 놀리고 움직여서 자연스럽게 해 나갑니다. 그 기술의 미묘함은 아직 한 번도 살이나 뼈를 다친 적이 없습니다. 하물며 큰 뼈야 말할 나위가 있겠습니까? 솜씨 좋은 소잡이가 해마다 칼을 바꾸는 것은, 살을 자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소잡이는 매달 칼을 바꾸는데, 이는 뼈를 자르기 때문입니다. 저의 칼은 19년이나 되어 잡은 소가 수천에 달합니다만, 칼날은 막 숫돌에 간 것 같습니다. 그 뼈마디에는 틈이 있지만, 칼날에는 두께가 없습니다.˝

포정은 말을 계속한다.
˝두께 없는 것을 틈새에 넣으니, 널찍하여 칼날을 놀리는데 반드시 틈이 있게 되는 것입니다[其於游刃, 必有餘地矣]. 이러므로 19년이나 되었지만 칼날이 막 숫돌에 간 것 같은 것입니다. 그렇지만 살과 뼈가 엉킨 곳을 만나게 되면, 저는 그것이 어렵다고 여기어 조심스럽게 삼가면서, 눈을 거기에 모으고 천천히 움직여서 칼을 매우 섬세하게 움직입니다.살이 뼈에서 싹하고 떨어져 나오면 마치 흙덩이가 땅에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칼을 들고일어나 주위를 둘러보고 잠시 머뭇거리다가 마음이 흐뭇해지면 칼을 씻어 챙겨 넣습니다.˝

문혜군이 감탄하며 말했다.
˝훌륭하도다. 나는 포정의 말을 듣고 양생(養生)의 도를 터득했느니라.˝

*爛(빛날 란) 戰(싸울 전) 魏(나라이름 위) 庖(푸주간 포) 惠(은혜 혜)必(반드시 필) 地(땅 지) 矣(어조사 의)

[參考] 전각(篆刻)과 서예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인가?

전각(篆刻)은 독특한 풍격을 지닌 예술이다. 이것과 서예나 회화의 원리원칙과는 서로 통하는 점이 있으면서도 아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더욱이 서예와는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반천수(潘天壽)는 ˝도장에 사용되는 문자는 전서를 위주로 하고 있으나 때로는 예서나 해서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것을 배우려고 하는 자는 모름지기 먼저 문자에 대한 공부와 서예의 모든 서체를 통달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두 번째는 돌을 끊어 여기에다 새기고 파는 기술을 완벽하게 습득하여 포정해우(庖丁解牛)나 유인유여(遊刃有餘)의 고사처럼 막힘이 없어야 한다. 세 번째는 마땅히 도장 위에 우활한 기세나 소박하고 후한정신 그리고 고상하고도 우아한 풍격등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보면 서예나 회화의 원리 원칙은 완전히 같은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전각예술은 회화나 조각 예술의 특색외에 서예를 기초로 하여야만 제대로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중국 문자의 시작에 결서(契書)라는 것이 있는데 여기에서 결(契)이라는 의미는 새긴다는 뜻이다. 지금까지 전해내려오는 갑골(甲骨), 종정(鍾鼎), 비갈(碑碣), 와당(瓦當) 등을 보면 서예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조각예술의 절묘함도 함께 지니고 있다. 이것들은 서예의 범위를 무한히 넓혀줄 뿐만 아니라 전각예술의 창조와 발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예·회화·전각 등은 이것을 연원으로 삼아 과도기를 거쳐 발전하고 있는 것이다. 비록 이것들이 서로 고유한 특성을 가지면서 제각기 분주하게 발전하고 있지만 예술적인 규율에서 보면 공통점을 지니면서 일맥상통하고있는 것이다.

전각을 할 때에는 대다수가 말하길 칼을 사용하는 것을 마치 붓을 움직이는 것처럼 하여야 된다고 하였으니 이른바 집도여집필(執刀如執筆) 또는 운도사운필(運刀似運筆)이라는 말로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 서예에서 필정묵취(筆情墨趣)라는 것을 말하는데, 전각에서도 마찬가지로 도정석취(刀情石趣)라는 것을 추구하고 있으니 각각 미를 나타내려고 하는점에 있어서는 똑같은 것이다. 이것은 전각에서 도미(刀美)·석미(石美)라고 표현되며, 서예에서 필미(筆美)·정취(情趣)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돌은 마치 화선지와 같으며 도봉(刀鋒)은 필봉(筆鋒)과 같아 이것을 가지고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침착하고 통쾌한 맛을 나타내며, 소박하면서도 굳센 느낌을 표현하기도 하며, 깎아지른 듯한 느낌과 호매한 풍격을 갖게 하며, 단정하면서도 전아한 분위기를 창출하기도 하며, 수려하면서도 아름다운 자태를 그리기도 하고, 거칠면서도 호방한 기분을 표현하는 등의 것이 바로 칼끝에서나오면서도 서예의 필미(筆美)를 잃지 않는다.

서예에서 붓을 사용하며 필법(筆法)의 미를 표현하듯이 전각에서도 칼을 이용하여 도법(刀法)의 아름다움을 나타낸다. 그러나 예술적인 면에서 보면 여기에서 진일보하여 서예에는 금석의 맛이 있어야 하며 금석에는 서예의 맛이 나야 하니, 이 두 가지는 아주 밀접한 연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각은 반드시 서예의 기초를 가지고 있어야만 비로소 운도여필(運刀如筆)의 경지를 터득하여 일가를 이룰 수 있다. 이것은 마치 서에에서는 한 장의 화선지와 같은 것으로 장법에 있어서도 마땅히 똑같은 것은 피하여 다른 형태로 표현하여야 하며, 많은 자태에서도 아름다운 변화를 추구하여서 획들이 서로 돌아봄에 정감이 있어야하며, 생동감있게 활발한 경지를 구축하여야 하는 것이다. 확실히 재주있는 전각가들의 작품을 보면 글자들의 호흡이 고르며, 기운(氣韻)중에 시를 읊는 듯한 감동이 있어 작품에서 부드럽기가 마치 봄에 까치가 나는 듯하며 침착함이 추운 겨울에 눈이 쌓인 듯하다. 그리고 때로는 표일함이 마치 가벼운 구름이 움직이는 듯하며, 굳세기가 오래된 소나무와 같고, 짜임새의 하나하나가 생동감과 치밀함이 어우러진 도안(圖案)을 가지고 있다. 이름을 새긴 전각작품에서는 작가의 개성과 기질 심지어는 예술수양까지도 엿볼 수 있다. 역대 이래로 유명한 전각가는 서예에 정통하였을 뿐만 아니라 회화나 시문에도 비교적 깊은 조예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은 작은 돌 위에다 범위를 확대시키고 대담하게 칼을 휘둘러 전각예술의 온갖 아름다운 경치를 다 표현하였다.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