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兎絲燕麥(토사연맥) |  | |
|
[고사성어] 兎絲燕麥(토사연맥:In name but not in reality)
[字解]
兎(토끼 토)
絲(실 사)
燕(제비 연)
麥(보리 맥)
[意義]
이름만 있을 뿐 실질(實質)이 없는 것, 즉 유명무실(有名無實)한 것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위서(魏書)-이숭전(李崇傳).
[解義]
북위(北魏) 시대, 지배층은 불교를 숭배하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과 물자(物資)를 동원하여 사원을 건축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학술(學術)이나 문화는 중요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 식자(識者)들은 선무제(宣武帝)와 효명제(孝明帝)에게 글을 올려 태학(太學)을 부흥하고, 전통 문화를 중시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그 당시, 형소(邢邵:자는 子才)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국자제주(國子祭酒)´라는 관직을 지내는 사람으로서 전통 문화를 경시하는 태도에 대하여 큰 불만을 느끼고 있었다.
형소는 다른 학자들과 함께 황제에게 글을 올렸다.
그리고 이숭(李崇)이라는 사람은 양주자사(揚州刺使)를 지냈는데, 그도 역시 황제에게 글을 올린 적이 있었다.
형소나 이숭 등은 모두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글을 올렸다.
˝ .... 지금의 태학과 국자감은 이름 뿐으로, 실질적으로 조금의 지식도 전수해주지 않고 있는데, 이는 어찌 토사(兎絲)나 연맥(燕麥), 기성(箕星)이나 북두(北斗)와 다르지 않겠습니까[何異兎絲燕麥, 南箕北斗哉]? .... ˝
토사는 해로운 들풀의 이름이고, 연맥은 보리처럼 생긴 들풀의 일종으로서 먹지 못한다.
기(箕)와 두(斗)는 모두 별자리의 명칭으로서, 기성(箕星)은 남방에 위치하며 네 개의 별이 사다리꼴로 배열되어 마치 키처럼 보인다.
두성(斗星)은 속칭 북두성(北斗星)이라 불리며, 큰곰자리를 말한다.
두성은 일곱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는데, 네 개는 사다리꼴이고 세 개는 하나의 선을 이루어 전체 형상은 긴 자루가 달린 국자 모양이다.
이 두 개의 별자리는 실물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실제 물건으로는 쓸 수 없다.
* 崇(높을 숭) 邢(나라 이름 형) 邵(고을 이름 소) 箕(키 기) 斗(말 두).
[同意語]
南箕北斗(남기북두).
[English]
-Merely nominal.(오직 이름뿐인)
-Titular.(이름뿐인, 유명 무실한; 명의상, 명목(名目)상)
-In name only.(명의(名義)상)
[參考]
위서(魏書)는 북제(北齊)의 위수(魏收)가 서기 551년, 즉 문선제(文宣帝) 천보(天保) 2년에 편찬한 역사서로서 ≪북위서(北魏書)≫ 또는 ≪후위서(後魏書)≫라고도 한다.
본기(本紀) 12권, 지(志) 10권, 열전(列傳) 92권 등 모두 114권으로 이루어졌으며, 중국 25사(二十五史)의 하나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