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狗尾續貂(구미속초)

[고사성어] 狗尾續貂(구미속초)

[字解]
狗(개 구) 尾(꼬리 미) 續(이을 속) 貂(담비 초)

[意義]
개꼬리를 담비의 꼬리에 잇는다. 좋은 것 다음에 나쁜 것을 잇는 것.
① 좋지 않은 것으로 좋은 것을 대신(代身)하여,앞뒤가 서로 어울리지 않음을 비유한 말이다.
② ´벼슬자리를 함부로 마구 줌´을 뜻하기도 함. 또는 쓸만한 인격자가 없어 비열한 자를 고관(高官)에 등용함.

[出典]
진서(晉書) 조왕륜전(趙王倫傳)

[解義]
삼국 시대 말기, 진(晉)나라 무제(武帝) 사마염(司馬炎)은 전국을 통일하고 진나라를 세웠다.
그는 한(漢)나라 고조(高祖)를 모방하여, 제후들을 봉하고 중앙 집권 통치를 공고히 하려 했다.
그러나 제후들의 권력다툼 등으로 내분이 발생하고 결국 팔왕지란(八王之亂)을 당하게 되었다.

진 무제의 숙부인 사마륜(司馬倫)은 사마염(司馬炎)의 조부인 위장(魏將) 사마의(司馬懿)의 아홉 째 아들로서 조왕(趙王)에 봉해졌다.
사마염이 죽자, 아들 사마충(司馬衷)이 즉위하였으니 곧 진 혜제(晉惠帝)였다.
이 당시 진 혜제의 부인인 가황후(賈皇后)가 정권을 장악하자, 사마륜은 대신(大臣) 손수(孫秀)와 공모하여 조황후 등을 살해하고 황제의 자리를 차지하였다.

사마륜이 즉위하자 그의 친척들과 친구들도 덩달아 벼슬을 하게 되었으며, 심지어는 종들과 심부름꾼들까지도 한 자리씩 떠맡게 되었다.
당시 관원들은 담비의 꼬리가죽으로 관모(官帽)를 꾸몄는데, 벼슬아치들이 갑자기 증가하게 되자 담비의 꼬리가 모자라게 되었다.
이에 하는 수 없이 비슷한 개의 꼬리를 사용하게 되자, 백성들은 이를 몹시 불만스럽게 생각하고 다음과 같이 비꼬았다.

˝담비 꼬리가 모자라니 개꼬리로 이어대는군(貂不足, 狗尾續).˝
즉, 조왕 사마륜의 무리가 득세하여 그 노비에 이르기까지 벼슬자리를 함부로 주다보니, 고관의 관모 장식용으로 쓰이는 담비의 꼬리가죽이 부족하여 보잘것없는 개꼬리 가죽까지 동원하여 쓰게 되었다.
이 말에서 狗尾續貂(구미속초)라는 성어가 생겨났으며, 경상(卿相)에 인물이 부족하여 노복(奴僕)까지 몰아다가 입궐시켜 벼슬자리를 주는 실태를 조롱하는 말이다.

* 倫(인륜 윤{륜}) 炎(불탈 염) 懿(아름다울 의) 衷(속마음 충) 秀(빼어날 수) 帽(모자 모)

[English]
-To make an unworthy continuation of a great work.
(위대(偉大)한 일을 가치(價値) 없는 것으로 계속(繼續)하다)
-To write a deplorable sequel to a masterpiece.
(걸작(傑作)에 한탄(恨歎)스런 속편을 쓰다)* deplorable: 한탄스런 sequel: 후편(後篇), 속편
-A wretched sequel to a fine work.(훌륭한 작품에 형편없는 속편)*wretched: 비참(悲慘)한, 열등(劣等)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