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글 나누기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고사성어] 흑우생백독(黑牛生白犢)

[字解]
黑 검을 흑,牛 소 우, 生 날 생, 白 흰 백, 犢 송아지 독

[意義]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말로,재앙이 복이 되기도 하고 복이 재앙이 되기도 한다는 뜻이다.

[出典]
열자(列子) ˝설부(說符)˝편

[解義]
세상만사가 변전무상(變轉無常)하므로 인생의 길흉화복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이다.
곧, 길흉화복의 덧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송나라 사람 중에 어질고 의로운 행동을 하기 좋아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삼대에 걸쳐 계속 이것에 힘썼다.
하루는 그 집에서 기르는 검은 소가 까닭도 없이 흰 송아지를 낳자 그 것에 대하여 공자에게 물었다.
이에 공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이것은 길한 징조이니 그것을 하나님께 바치시오.˝

그로부터 일년 후, 그의 아버지가 까닭도 없이 눈이 멀었다.
그런데 그 집 소가 또다시 흰 송아지를 낳았다.
그의 아버지는 다시 그의 아들을 시켜 공자에게 물어보도록 하였다.
이 때 아들은 말했다.
˝먼저번에 그 분에게 물어보고 눈이 멀었는데 또 무엇 때문에 물으려 하십니까?˝

아버지가 말했다.
˝성인의 말씀은 먼저는 어긋나다가도 뒤에는 들어맞는다. 다시 그 분께 여쭈어 보거라.˝
그 아들이 또다시 공자에게 물어보니, 공자가 말했다.
˝길한 조짐이로다.˝ 그리고는 그 송아지로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아들이 돌아와 말을 아뢰니 그의 아버지가 말했다.
˝공자님의 말씀대로 행하거라.˝

그로부터 일년 후, 그 집 아들도 또 까닭없이 눈이 멀었다.
그 뒤에 초나라가 송나라를 공격하여 그들이 사는 성까지 포위하였다.
백성들은 자식을 바꾸어 잡아먹고 유해를 쪼개어 밥을 지었다.
장정들은 모두 성 위로 올라가 싸우다가 태반이 죽었다.
그러나 이들 부자는 모두 눈이 멀었기 때문에 화를 면할 수 있었다. 포위가 풀리게 되자 그들은 다시 눈이 회복되어 사물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이야기에서 비롯되어 ´흑우생백독´이란 성구가 생겨났으며, 인생에 있어서 길흉화복은 항상 바뀌어 미리 헤아릴 수가 없음을 비유하여 쓰인다.
인생은 행복만 있을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불행만 있을 수도 없다.
그러므로 견디기 어려운 불행을 만났다고 하여 실의에 빠져 있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類似語]
새옹지마(塞翁之馬)
 
비즈폼
Copyright (c) 2000-2025 by bizforms.co.kr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 1588-8443. 오전9:30~12:30, 오후13:30~17:30 전화상담예약 원격지원요청
전화전 클릭
클린사이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