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무산지몽(巫山之夢) |  | |
|
[고사성어] 무산지몽(巫山之夢)
[字解]
巫 : 무당 무
山 : 뫼 산
之 : 어조사 지
夢 : 꿈 몽
[意義]
무산의 꿈이란 뜻으로, 남녀간의 은밀한 정교를 가리키는 말이다.
[出典]
《문선(文選)》에 수록된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서 비롯된 말이다.
[解義]
전국시대 초(楚)의 양왕(襄王)이 송옥과 함께 운몽(雲夢)이라는 곳에서 놀다가 고당관에 이르게 되었다.
문득 하늘을 보니 이상한 형상의 구름이 피어오르고 있어 송옥에게 무엇인지를 물었다.
그러자 송옥은 그 구름이 조운(朝雲)이며, 다음과 같은 사연이 있다고 이야기하였다.
옛날 어떤 왕이 고당관에서 연회를 열고 즐기다가 잠시 낮잠을 자게 되었는데, 꿈속에 아름다운 여인이 찾아와 말하기를 ˝저는 무산에 사는 여인이온데, 왕께서 고당에 오셨다는 말을 듣고 잠자리를 받들고자 왔습니다˝ 하였다.
왕은 그녀의 아름다움에 빠져 스스럼없이 운우의 정(雲雨之情)을 나누었다.
헤어질 무렵이 되자 그 여인은 이런 말을 하였다.
˝저는 무산 남쪽의 험준한 곳에 살고 있는 여인이온데,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 아래에서 아침 저녁으로 당신을 그리워하고 있을 것입니다[妾在巫山之陽 高山之 且爲朝雲 暮爲行雨 朝朝暮暮 陽臺之下].˝
말이 끝나자 여인은 자취를 감추었고, 왕은 퍼뜩 잠에서 깨어났다.
다음날 아침 왕이 무산 쪽을 바라보니 여인의 말대로 산봉우리에 아름다운 구름이 걸려 있었다.
왕은 여인을 그리워하며 그곳에 조운묘(朝雲廟)라는 사당을 세웠다.
그후로 무산의 꿈이 남녀간의 정교를 의미하게 되었다.
여기서 양대란 해가 잘 비치는 대라는 뜻인 동시에 은밀히 나누는 사랑을 말한다.
그래서 양대불귀지운(陽臺不歸之雲)이라 하면 한 번 인연을 맺고 다시 만나지 못하는 경우를 가리킨다.
[同意語]
무산지운(巫山之雲)
무산지우(巫山之雨)
운우지락(雲雨之樂)
운우지정(雲雨之情)
[굿데이유머] - 운우지정.
수능이 끝나고 치는 기말고사 때였습니다.
수능도 끝났겠다, 공부 안하는 애들은 더 안하고, 그나마 조금씩 하던 애들도 손놓고 시험을 봅니다.
문학시험에 <이생규장전>이라는 고전소설에서 문제가 하나 나왔습니다.
<문제> 다음의 글을 읽고 지극한 즐거움에 대해 사자성어로 쓰시오.
˝서로 이야기가 끝나고 이생은 아내와 잠자리를 같이하니 ´지극한 즐거움´은 옛날과 같았다.˝
정답은 ´운우지정(雲雨之情)´이었죠.
그런데 내 친구의 답안은 황당하게도 ´오르가슴´이었습니다.(misomail.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