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남취(濫吹) |  | |
|
[고사성어] 남취(濫吹)
[字解]
濫 : 함부로 남
吹 : 불 취
[意義]
엉터리로 큰 생황을 부는 것을 말하며,능력이 없는 자가 능력이 있는 것처럼 가장(假裝)함을 뜻하며, 실력이 없는 자가 높은 자리를 차지함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한비자(韓非子) 내저설상 칠술편(內儲說上 七術篇).
[解義]
임금이 신하를 다스리는 일곱 가지 술법(術法)이 적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곱 가지 술법이란, 첫째 여러 가지 일의 발단을 참고하여 볼 것, 둘째 잘못된 일은 반드시 처벌하여 위엄을 밝힐 것, 셋째 잘한 일은 상을 주어 능력을 다하게 할 것, 넷째 매일 신하들의 말을 들어 볼 것, 다섯째 의심나는 명령을 내려보고 거짓으로 잘못을 시켜 볼 것, 여섯째 아는 것을 감추고서 물어볼 것, 일곱째 말을 거꾸로 하여 반대되는 일을 시켜 볼 것 등이다. 이 일곱 가지는 임금이 사용해야 할 것들이다.”
그 한 예로 든 것이 다음과 같은 이야기이다.
제(齊)나라 선왕(宣王)이 사람으로 하여금 竽(우:큰 생황)를 불게 할 때는 반드시 300명이 함께 불게 하였다[齊宣王使人吹竽 必三百人(제선왕사인취우 필삼백인)]. 남곽처사(南郭處士)가 왕을 위하여 우를 불겠다고 청원하였다. 선왕이 이것을 기뻐하여 수백 명 분의 녹봉(祿俸)을 주었다[南郭處士 請爲王吹竽 宣王說之 凜食以數百人(남곽처사 청위왕취우 선왕열지 늠식이수백인)]
. 선왕이 죽고 민왕이 즉위하자, 한 사람 한 사람이 부는 것을 듣기 좋아하였다. 처사는 도망쳤다[宣王死緡王立好一一聽之 處士逃(선왕사 민왕입호 일일청지 처사도)].
여기서 ´남취´라는 말이 유래되었다.
한비자는 이 우화로 여론도 중요하지만 나라를 바로 다스리자면 한 사람 한 사 람 신하들도 잘 알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나라가 이 지경에 이른 것도 요소요소에 박혀 있는 ´남곽´들 탓이 클 것이다.
악사들을 수시로 독주장에 세워 누가 남취(濫吹)하는가를 가려내어야 할 것이다.
[同意語]
남곽남취(南郭濫吹)
남우충수(濫竽充數)
남우(濫竽).
[English]
-To fill a post without real qualifications.(진정한 자격이 없이 자리를 채우다)
-To put men who cannot work.(일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배치하다)
-To be there just to make up the number.(단지 숫자만을 충당하기 위하여 그곳에 있다)
-To be included among a group of experts.(전문가의 그룹 안에 포함되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