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joungul.co.kr 에서
제공하는 좋은글 입니다.
바쁜 일상 속에 잠시 쉬어가는 공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
|
|
|  | 玩物喪志(완물상지) |  | |
|
[고사성어] 玩物喪志(완물상지)
[字解]
玩(희롱할 완)
物(만물 물)
喪(잃을 상)
志(뜻 지)
[意義]
하찮은 물건에 대한 집착으로 큰 뜻을 잃음을 말함.
[出典]
서경(書經) - 여오(旅獒).
[解義]
은(殷)나라의 마지막 군주인 주(紂)는 성격이 포악하고 백성들에게 재화와 보물들을 거두어들여 호화로운 궁전을 세우고 유흥에 빠져 백성들의 원망이 높았다.
주(周)나라의 서백(西伯:은을 섬긴 서쪽 여러 민족 가운데 우두머리) 창(昌)은 겉으로는 주를 섬기었으나 머지않아 은이 망할 것을 예견하고 주(紂)를 칠 준비를 하고 있었다.
창이 죽고 발(發:무왕)이 뒤를 이어 기원전 1051년 드디어 은의 수도를 목표로 군사를 일으켰다.
이 보고를 받은 폭군 주(紂)는 감옥에 가득찬 죄인들을 풀어 70만 대군을 편성하여, 주(周)의 군사를 목야(牧野)에서 맞아 결전을 치르기로 하였으나, 이미 민심을 잃은 그에게 충성을 바치는 군사는 없었다.
순식간에 대오가 무너지고 쫓기던 주왕(紂王)은 궁전에 스스로 불을 지르고 죽었다.
주(周)나라를 세운 무왕은 건국의 공신들에게 각지에 제후로 봉하고 더불어 먼 나라에도 사신을 보내어 자기의 문덕과 무공을 전하고 신하로서 자신을 왕으로 섬길 것을 요구하였다.
어느 날 서방의 먼 곳에 자리잡은 여(旅)나라의 사신이 와서 큰 개 한 마리를 헌상했다.
무왕은 이 진기한 선물을 기쁘게 받고 사자에게 큰 선물을 내렸다.
이것을 본 대보(大保) 소공(召公)이 글을 올려 다음과 같이 간언했다.
사람을 가지고 놀면 덕을 잃고[玩人喪德(완인상덕)],
물건을 가지고 놀면 뜻을 잃습니다[玩物喪志(완물상지)].
이 말을 듣고 무왕은 은나라의 멸망을 교훈삼아 큰 개는 물론 헌상품을 모조리 제후와 공신들에게 나누어 주고 정치에 전념했다.
오늘날에도 정치인들이 뇌물에 넘어가 정치의 본뜻을 잃고 마는 경우가 많다.
무릇 큰 뜻을 품은 사람은 물욕(物慾)에 초월한 태도를 익혀야 함을 말하고 있다.
[무왕 武王(BC 1169 ?~BC 1116)]
중국 주(周)나라의 제2대 왕이며 사실상의 창건자.
이름 발(發). 아버지 문왕(文王)의 뜻을 이어받아 은(殷)나라 서부 제후(諸侯)의 맹주로서 은나라 토벌의 전쟁을 일으켜 허난성[河南省] 목야(牧野)에서 주왕(紂王)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나라를 멸망시켰다.
지금의 산시성[陝西省] 시안[西安] 부근인 당시의 호경(鎬京)에 서울을 정하여 주나라를 창건하고 아우인 주공(周公) 단(旦)과 공신 여상(呂尙) 및 소공(召公) 석(奭) 등의 보필을 받아 나라의 기초를 공고히 하였다.
한편 아들인 무경(武庚)을 은나라의 고지(故地)에 제후로 봉(封)한 다음, 관숙(管叔)·채숙(蔡叔) 등에게 이를 감시하게 하고, 전국을 여러 지방으로 나누어, 각 지방에 제후를 봉하는 등 봉건제도를 시행하였다.
그러나 무왕이 죽자 무경과 관숙·채숙 등이 반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무왕은 문왕과 함께 성왕(聖王)으로 추앙되며, 그가 은나라를 친 군사행동은 포악한 군주를 응징하고 시달리는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한 성전(聖戰)으로 평가되며, 유교(儒敎)에서는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정당화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소공 召公(?~?)]
중국 주나라의 정치가.
이름 석(奭). 소공은 칭호(稱號). BC 11세기 때의 사람으로 주나라 무왕(武王)의 동생이다.
같은 형제인 주공(周公)과 함께 어린 성왕(成王: 무왕의 아들)을 보필하여 주나라 왕조의 기반을 확립시켰다.
주나라 초기의 금문(金文)이나 《상서(尙書)》 등에서 ‘대보(大保)’라고 일컫는 것은 왕의 후견역이라는 뜻이며, 또 ‘황천윤대보(皇天尹大保)’라고도 일컫는 것은 소공이 사관(史官)의 장관으로서 성직(聖職)에 있었기 때문이다.
무왕이 죽자 무왕에 의하여 멸망한 은(殷)나라 왕조의 후손 무경(武庚)이 동남방의 이민족인 이(夷) 등과 짜고 반란을 일으켜 은왕조를 부흥시키려고 하였다.
소공은 주공과 함께 젊은 성왕을 옹립하고 출정하여 반란을 진압하고 무경 등을 죽였으며, 다시 동쪽의 산둥반도[山東半島]에 있는 이족의 본거지까지 원정하여 동방경략의 대업을 완성시켰다.
주공은 성왕 초에 죽었으나 소공은 다음 왕인 강왕(康王) 때까지 생존하여 고령에도 불구하고 정치를 보살폈다
|
|
|
|
|